d라이브러리
"미국 항공 우주국"(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달, 45억 살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또, 지난 4월 22에는 미국 지질연구소와 미국항공우주국, 달과행성연구소 연구팀이 달 표면 지도를 완성하기도 했지. 달을 연구하다 보면 달뿐 아니라 화성, 나아가 우주에 대해서도 알게 될 거야! 그러면 우주여행도 가능해지겠지? 그때 달로 놀러오렴~ ... ...
- [특집] 아이디어3. 태양광 비행기, 초경량 소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단단하고, 미세격자금속은 유연하죠.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g의 에어로젤이 2500g의 무게를 버티는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어요. 다만 비금속 재료의 특성상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버틸 수 있는 힘보다 큰 힘을 가하면 깨져버린답니다. 반면 미세격자금속을 제작한 미국 HRL연구소의 실험 결과에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하지만 난 화성의 땅속을 탐험하고자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보낸 최초의 탐사선이지. 지금은 화성의 적도 부근에 있는 엘리시움 평원에 도착해 지질을 분석하고 있단다. Q 화성에 머무는 동안 뭘 했어?2018년 12월, 화성 땅에 프랑스 국립우주센터가 만든 지진계(SEIS)를 올려뒀어. 그리고 2019년 4월, ...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부른다. 연구팀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TESS·테스)’이 보내온 중심별의 플레어 방출 데이터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의 플레어 방출 후 외계행성의 대기 입자가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계산했다. 그 결과, 중심별에서 슈퍼플레어가 아닌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볼 수 없는 우주’로로 나뉩니다. 현재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약 134억 년 전까지의 우주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우주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우주를 기준으로 해답을 내놓았습니다. 별이 모이면 은하를 이룹니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별의 총 수는 ... ...
- [수학뉴스] 우주 산업의 미래를 그리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애플리케이션’을 주제로 알렉스 맥도널드 미국항공우주국(NASA) 수석경제고문이 발표했습니다. 특히 맥도널드 고문은 한국이 NASA와 함께 개발하는 달 궤도선(KPLO)에 관심을 보이며 “이를 토대로 한국이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양국의 우주 협력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JWST)’이 2021년 10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트로이군에 있는 7개의 소행성을 포함해 총 8개의 천체를 관측하는 탐사선 ‘루시(Lucy)’를 2021년 10월 발사할 계획이다. NASA는 또 소행성의 지구 충돌에 대비해 소행성에 물리적 충격을 가해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론천체물리학자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도 지난해 블랙홀 ‘M87*’이 공간을 얼마나 왜곡시키는지 보여주는 GIF를 십여 개 만들어 발표했어요.한편, 박종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지능연구실장은 오류가 적다는 장점 때문에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밝혀졌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공동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의 분광장치(LEISA)로 촬영한 초해상도 공간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해 크툴루 지역에 있는 메탄과 질소의 분포를 지도로 나타냈다. 그 결과, 크툴루 지역 산꼭대기에 형성된 서리는 99% 이상 메탄 ...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트를 보내왔다’.2015년 7월 1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사진엔 오른쪽 아래 선명한 하트 모양이 박힌 황토색 명왕성이 있었다. 그날 즉시 언론에, 그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온통 이 사진이 도배됐다.지구와는 멀고 먼 곳의 차갑고 무미건조할 것만 같던 천체에 사랑이 담긴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