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d라이브러리
"
비정상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한다(화재경보기도 안 울렸는데 천장의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쏟아진다!). 물론 이런 ‘
비정상
적인’ 통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위험 경고로서의 가치는 없다.통증 신호 전달 과정을 살펴보면 통증을 없애는 전략도 여럿임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실제 사건이 일어나는 부위에서 통증 유발을 막을 수도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연구에 따르면, VMPFC가 손상된 환자들은 도덕적 딜레마를 주고 판단을 내리게 하면
비정상
적으로 공리적인 선택을 한다. 예를 들어 5명을 살리기 위해 한 사람을 선로로 밀어 죽게 하는 것이 옳다는 선택을 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이들 가운데는 사고 이후 성격이 공격적으로 바뀐 사례도 있다.선행이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미국 시카고대에, 박영수 군은 MIT에 각각 다니고 있다. 2006년 10월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비정상
적인 세포주기 연구’란 논문을 공동 발표한 이시항 군도 역시 대통령 과학장학생으로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 진학했다.그동안 한국청소년과학학술지는 2005년 창간호가 발간된 이래 매년 2권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비율을 기준으로 추출액의 아미노산 함량과 비교합니다. 추출액에서 글루타민산 함량이
비정상
적으로 높게 나오면 MSG를 추가로 넣은 것이죠.”이렇게 적발된 업체와는 두 번 다시 거래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연구소 분석실에 들어서자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같은 분석장비가 꽉 차있다. 모니터의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근육 구조도 변해 잘 움직이지 못했다.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세포 속의 미토콘드리아가
비정상
적으로 커지거나 변형돼 근육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뇌 속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도 조사했다. 그 결과 신경세포 안의 미토콘드리아도 대부분 크기와 모양이 변해 에너지를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지는 셈이다. 김 교수는“정상인은 A-KAP 12가 항상 발현돼 혈관 수가
비정상
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고 설명했다.뇌혈관장벽이 무너지면 뇌에서는 알츠하이머, 파킨슨, 뇌종양, 뇌졸중 등 중증질환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김 교수는“도시를 둘러싼 성문이 제 역할을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않았다. 그러나 좀 더 면밀히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은 신경계의 시냅스 전달 과정이
비정상
적이었고 생체 리듬과 수면 주기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편 프리온 단백질에는 구리 이온(${Cu}^{2+}$)이 붙어 있다. 따라서 프리온이 구리 이온의 대사나 전달 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구리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어나는 혼수 혼수상태에서는 혈당값(血精値)이
비정상
적으로 높아지고, 오줌에 아세톤 · 아세트산 등 지방대사의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만일 젖은 경우 즉시 수리를 맡긴다. 설사 마른 뒤에도 회로에 남은 찌꺼기로 인해
비정상
적으로 전류가 흐르고 전압이 가해질 수 있다.Tip3꼭 정품 충전기와 교류 어댑터를 쓴다. 규격에 맞지 않거나 불량 장치를 쓸 경우 지나치게 높은 전류가 흐르거나 전압이 걸릴 수 있다.Tip4배터리를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初心)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단백질의 구조부터 차근차근 연구하다보면 언젠가는
비정상
적으로 성장해 암으로 돌변하는 ‘세포의 반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Interview 조윤제 단장단백질 설계도 그리는 과학계 ‘다빈치’인간의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p53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로 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