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건
사정
형세
사변
상황
형편
상태
d라이브러리
"
사태
"(으)로 총 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듣지 않는 다제내성 폐결핵이 급증했습니다. 오늘날 공공 보건의 무덤이라 할 이
사태
가 남한이나 중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한-중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 ...
만신창이 황다랑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없고…. 방법이 없을까? 이대로 가다가는 황다랑어를 잡기도 어렵고, 잡아도 못 먹는
사태
가 발생할 거예요. 맛있는 참치를 잔뜩 먹는 것도 좋지만, 우리와 바다를 보호해 줄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전세계 국가들의 협력이 필요해요. 참치 도넛 같은 말도 안 되는 음식은 생각하지도 말고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목소리를 높인 이유가 뭘까.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계기였다. “후쿠시마
사태
터지고 우리 정부도 대책을 내놨는데, 그걸 보니까 1조가 넘게 투자됐다는데 전부 현실성이 없어요.” 원전의 안전을 제대로 이야기하는 조직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이때 들었다. 평소 알고 지 내던 원자력계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인데 갑자기 견제에 들어간다는 게. 사실은 우크라이나
사태
로 러시아를 압박할 필요가 있던 미국이 사우디와 손잡고 원유 가격을 낮춰버린 겁니다. 러시아는 천연가스를 팔아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엄청난 타격을 입었을 겁니다.”아무리 그래도 이상하다. 미국 셰일가스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중국 정부가 적극 나서지 않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다. 김 교수는 “중국 정부가 이번
사태
를 묵인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과 미국의 사이버 전쟁은 지켜보는 사람마저 긴장하게 만든다. 적과 동지 구분이 어려워 불똥이 어 디로 어떻게 튈지 모른다. 이전의 전쟁에서는 상대가 나를 향해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창업 멤버로 구수한 부 산 사투리가 매력적이었다. 정 이사는 “직원들이 한수 원
사태
때 나흘 동안 집에 못 들어가 아직도 피로가 남아있는 상태”라고 털어놨다. 당시 몇몇 직원들은 크 리스마스도 반납하고 한수원에 찾아가 직접 보안점 검을 했다. 사실 해커들의 공격은 연휴나 밤낮을 가리 지 ... ...
[과학뉴스] 에볼라 임상실험 서두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단계(소수를 대상으로 한 부작용 실험)로 아직 현장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에볼라
사태
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중간 과정을 건너뛰고 바로 3단계(대규모 환자 대상 실험)를 진행하기로 했다.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기니 등 에볼라로 고통받고 있는 3국은 자신의 나라 실정에 맞는 맞춤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치료할 수 있는가’입니다. 두두두둥~. ★5위★ 지맵 충격적인 결과입니다. 에볼라
사태
초기부터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던 지맵이 가장 먼저 탈락했습니다. 지맵은 장점이 많은 치료제입니다. 식물을 이용해 만들기 때문입니다. 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와 운반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단점도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전체 에볼라 환자는 2만 명을 넘지 않는다(2014년 12월 21일 기준). 일각에서는 ‘에볼라
사태
’가 진정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세계적인 감염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은 이를 두고 “에볼라 바이러스와의 거친 ‘럭비’는 끝났고 정교한 ‘체스’로 겨룰 차례”라고 말했다.에볼라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지역에서 발생한 에볼라가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는 이유다.김 박사는 이번 에볼라
사태
를 ‘제2의 에볼라’를 대비하는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나올 새로운 전염병에 어떻게 대응할지 경험을 쌓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보냈다고 들었는데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