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색깔"(으)로 총 1,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꺼내 별의 일주 운동을 사진에 담았다. ‘어떤 별은 왜 더 밝을까’ ‘왜 별마다 다른 색깔의 자국을 남길까’ ‘뿌옇게 흔적을 드러낸 은하의 정체는 뭘까’와 같이 ‘왜?’라는 호기심이 끊임없이 나를 자극했다. 1999년부터 구독하기 시작한 과학동아는 이런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NCT 유닛으로 가능한 그룹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아키라’에서 가상의 미래 도시 이름이 ‘네오도쿄’인 것처럼, ‘네오한’ NCT 음악 색깔이란 미래적이고 새로운 느낌을 상징한다. 이런 특징은 NCT의 노래만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도 드러난다. ★SM이 꿈꾸는 미래, NCT★NCT는 그룹의 정체성으로 ‘무한 개방’과 ‘무한 확장’을 내세운다. 무한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들어있습니다. 이런 휘발성 풍미 물질이 우유 특유의 맛을 좌우합니다. 음료의 노란 색깔도 진짜 바나나 우유로 착각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계란 노른자에는 주황색을 내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정확히는 베타카로틴)이 들어있습니다. 카로티노이드는 과일과 채소에 많이 함유된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정사면체 평면에서 나를 위한 달리기 경로를 찾아줄래? 같은 색깔 점끼리 연결하되 다른 색깔 점을 지나지 않는 측지선을 그리면 돼. 봉수야, 정십이면체에서 달려!정사면체 평면을 계속 이어붙이면서 열심히 그려본 너라면 대충 눈치챘을 거야. 정사면체에는 그런 경로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파장이 긴 빛이에요. 1800년, 독일 과학자 윌리엄 허셜이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고 각 색깔의 온도를 재다가 처음 발견했지요. 그는 가시광선 밖에서 온도계가 더 높은 온도를 가리키는 것을 보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빛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적외선은 붉은색 밖에 있는 ... ...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러시아어인 샤리키는 ‘볼’이라는 뜻이에요. 가로세로 각각이 8칸인 격자에 64개의 색깔 볼이 배치된 화면에서 게임이 진행되죠.상업적으로 성공한 첫 번째 매치3 게임은 ‘비주얼드’예요. 비주얼드 시리즈는 현재까지 1000만 개 이상 판매됐고, 매치3 게임의 재미 요소를 가장 잘 표현한 게임 중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표적인 연조직에는 지방과 근육이 있고, 이들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한다. 생김새나 색깔로 볼 때 전혀 비슷한 부분이 없는 두 연조직은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며 우리 몸이 활동할 에너지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이들 두 기관을 유전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스테롤조절인자 결합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떨어질 때 에너지값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는 빛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때 빛의 색깔은 방출되는 에너지값에 따라 결정된다.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질 수 있는 에너지값 전체를 총칭하는 말)는 물질마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같은 물질로 만든 발광소자는 같은 빛을 낸다. 퀀텀닷이 빛을 내는 ... ...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같은 모양의 주사위를 쓰니까 구분이 되지 않아서 한 개씩 여러 번 던져야 해! → 색깔로 도형의 성질을 구분하고 한 번에 굴릴 수 있도록 바꿈. 문제❹ 격자에서는 정삼각형을 작도하기 어려워! → 사용 가능한 선분들을 구성품으로 제작해 손으로 그리는 대신 투명 필름을 겹쳐가며 작도할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다른 색으로 바꿔주는 컬러필터의 역할을 했다면, 이번에는 직접 전류를 받아 원하는 색깔의 빛을 바로 내는 자발광 퀀텀닷을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것을 디스플레이에 응용했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한다는 사실까지 입증했다. doi: 10.1038/s41586-019-1771-5기존의 퀀텀닷 응용 소자가 빛을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