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리매스 미궁 1. 문제풀면 싹~ 열리는 문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넣으면 열리는 문 코딩 0부터 9까지의 키 버튼을 누를 때마다 ‘inputString’ 변수에 숫자를 계속 저장하고, ‘KEnter’를 누르면 ‘inputString’과 ‘matchString’ 값을 비교해 두 값이 같으면 문이 열리도록 스크립트에서 코딩 합니다. 여기서는 키패드에 ‘313326’을 입력하면 열리는 문을 만들어 볼게요 ...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보려면? Intro.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Part1. [기획] 사라진 꿀벌의 숫자, 83억 마리Part2.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Part3. [기획]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수학이 필요한가요? 모기 예보에 쓰이는 모기 개체 수와 기후, 지리 정보 등은 모두 숫자로 이뤄져 있어요. 이러한 변수들 사이에 연관 관계를 계산하고 모기 개체 수 예측 계산식의 정확도를 검증하려면 수학이 꼭 필요하지요. Q. 모기 예보제의 필요성이 있나요? 우리나라는 아직 모기를 통해 옮는 ... ...
- [몬스터를 잡아라!] 방어와 공격을 한 번에! 뺄셈·5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뺄셈 변신 몬스터의 이마에서 김이 나요. 게임이 잘 풀리지 않아서 화가 났나봐요. 숫자 5 안에 숨은 5 변신 몬스터는 눈을 감고 쉬고 있네요. 변신한 몬스터들을 잡으러 함께 떠나볼까요? 뺄셈한 결과가 5가 되는 두 수를 찾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에 1부터 10까지의 수가 적어도 하나씩은 ... ...
- [기획] 사라잔 꿀벌의 숫자, 83억 마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벌집에서 겨울을 난 일벌들은 봄이 되면 어린 벌을 키우고 일을 하다가 체력이 소진돼 죽음을 맞이합니다. 그 빈자리는 머지않아 곧 태어날 새끼 벌이 채우지요. 그래서 봄철엔 원래 벌의 수가 잠깐 줄어드는 것처럼 보여요. 그런데 올해는 좀 달랐습니다. 작년 12월부터 전라남도 등 남쪽 지방 ... ...
- [화보] 미션! 예술 작품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대칭을 표현한 퀼트 작품이에요. 예를 들어 1, 2, 3, 4 이렇게 4개의 숫자가 있을 때 이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4 x 3 x 2 x 1 = 24예요. 그 경우의 수를 가로, 세로 각 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내면 24 x 24 크기의 표가 만들어져요. 이 작품은 총 24가지의 색의 천을 바느질해 만들었어요. 정답 : 57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하기 때문이다. 이제 의사보다 높은 연봉도 이상하지 않다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숫자는 지금도 부족하고, 앞으로 더 부족해질 거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기존 시스템이 만든 학위나 전문가 시스템의 인증 방식을 넘어선 상태다. 마치 과거 외과의사가 이발사 같은 전문기능공 취급을 받았던 것과도 ... ...
- [숫자뉴스] 1만 년 전 매머드, 다시 살아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아주 오래전 지구상에서 사라진 동물이 힘차게 뛰노는 모습을 다시 볼 수 있을까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은 빙하시대★에 살았으나 인간의 지나친 사냥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멸종한 동물을 증강현실(AR)★로 되살리는 데 성공했어요.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인 빙하시대에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때 0과 1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치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근사치로 계산할 때, 어떤 숫자가 계산이 가능하고 불가능한지를 따지는 것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대표적 난제입니다. 이 문제가 어려운 이유는 컴퓨터과학자와 수학자마다 컴퓨터에게 실수를 계산하게 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 10 혹은 1, 4, 7, 10처럼 첫 번째 숫자에 일정한 숫자를 점점 더해 나감으로써 만들 수 있는 숫자의 나열이에요. 타오 교수는 소수만으로 이뤄진 등차수열을 만드는 것에 관심을 가졌어요. 예를 들어 3, 11, 19는 항이 3개인 등차수열이고, 7, 19, 31, 43은 항이 4개인 등차수열인데, 이 등차수열은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