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험관"(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있다고 하자. 나를 살리기 위한 최후의 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신경세포를 추출하여 시험관에서 급속도로 배양 증식시켜서 손상된 뇌의 구조를 똑같이 재구성한 다음 나의 머리를 열고 이식시켰다고 하자. 아마 나는 드디어 눈을 뜨고 의식을 되찾아 말도 하고 걸어다니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5호
- 할 보고서나 논문, 원고가 많아져 아예 컴퓨터를 실험실에 옮겨다 놓았다. '그래야 시험관 한번이라도 들여다볼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게 이유다.연구원들의 연구상황을 점검해보는 일도 빼놓을 수 없는 일과중 하나다. 10여명의 연구원들 중에는 박사과정생이 6명 포함돼 있는데, 누구보다 많은 ...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처음 소개되는 것. 인간 두뇌 속에서 이루어지는 상상의 세계를 마인드 랩(의식 시험관)을 통해 읽어내고 이를 영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메인쇼의 내용이다.만년설이 뒤덮인 첫장면에 이어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무인도가 나타난다. 섬 근해에는 아름다운 색깔의 산호가 자라고 있다. 형형색색의 ...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과학동아 l1993년 03호
- 를 이용해 이 수정란을 여성의 자궁강 내에 주입시키면 이것이 곧 체외수정이다. 보통은 시험관아기(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 & ET)라고 한다.이와 같이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은 그 과정이 크게 다르다. 시술과정, 약물투여방법, 매일같이 시행하는 검사와 생식세포의 처리 등이 복잡한 ...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1993년 02호
- 면모를 보인다.AZT의 '사촌들', 즉 10여개 이상의 디데옥시뉴클레오사이드 유사물질들이 시험관내에서 항(抗)HIV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ddC ddA ddl d4T 아지도(azido)-ddU 등은 이미 임상실험에 들어가 있다.그중 ddC는 이미 임상시험을 거쳐 그 약효와 부작용이 대부분 규명된 상태다. 이 약은 바이러스 ...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과학동아 l1992년 12호
- 특징은, 수백만년에 걸쳐 진화돼 온 생물의 발달과정과 그 산물을 유전자의 조작과 시험관 배양기술 등을 사용, 인위적으로 변형시키는 기술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생물체나 그 일부산물을 종래에는 꿈꾸지 못했던 인위적인 방법으로 변형해 대량생산하고, 공정화 산업화할 수 ... ...
- 상온 핵융합, 기사회생할까과학동아 l1992년 12호
- '헛 돈'을 쓸 리 만무한데···.첫 발표 당시의 플레이시만과 폰스의 주장을 요약하면 시험관 내에서, 더구나 특별히 고열을 가하지 않아도 값싸고 풍부한 핵융합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 주장은 곧 대다수 물리학자들의 거센 반격을 받았다. 물리학자들은 태양의 표면온도와 맞먹는 ... ...
- '92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일어나는 충돌반응 그리고 이동현상의 결과다. 단지 이같은 복잡한 자연현상이 시험관이나 비커 안에서 일어나는 반응과 다른 점은 그것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아주 많은 반응들의 결과라는 것뿐이다. 따라서 물리화학자들이 지향하는 목표의 하나는 먼저 간단한 개별적인 반응들을 분자계 ... ...
- 6 오랜 전통과 국가적 지원으로 눈부신 성장과학동아 l1992년 10호
- △효소공학, 산업미생물학, 가축 및 작물의 유전자조작, 동물세포배양의 새로운 방법, 시험관내의 독성평가 등이 포함된 생물공학활성계획(85-89년)에 이어 생물공학 등 8개분야를 망라한 유레카(EUREKA)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유레카계획은 운영방식이 다국적이고 협동을 전제로 한다. 즉 반드시 ...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아니라고 한다.다른 샘플은 잘 분해해서 자석이 붙어 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일주일후 시험관 유리에는 자철광 결정이 붙어 있었다. 작은 양이긴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7사람의 뇌조직 모두 자철광을 갖고 있었다. 인간의 뇌를 보면 대체로 조직 1g당 5백만개의 자철광 결정이 있다. 뇌를 감싸고 있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