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이 깨지기도 해요. 그 결과 장내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고 면역이 약해지는 등 질병이 발생하거나 건강이 나빠질 수 있죠.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로테르담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는 장내 미생물이 우울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한국미생물학회에서는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행성보다 작은 천체)으로 부르기로 했지요. 명왕성의 지름★은 약 2380km로, 달의 2/3에 불과해요. 용어 설명지름★ 원의 중심을 지나면서 원 둘레 위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이에요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삽살개는 지금의 티벳 마스티프 같은 개들과 유전자가 비슷합니다. 삽살개의 조상은 약 4700년 전 북방 유목민족과 함께 한반도에 왔어요. 대부분 귀가 누워 있고, 긴 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편, 진도개와 동경이는 뉴기니아 싱잉독처럼 동남아시아에 사는 개들과 비슷해요. 진도개와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대기와 부딪힐 때 발생해 지상으로 쏟아져 내려오는 입자지. 양 손바닥을 펼치면 1분에 약 200개의 뮤온이 손을 통과하고 있단다. 뮤온은 전자처럼 매우 작지만, 질량은 206배 더 무거워. 또, 두꺼운 콘크리트를 통과할 정도로 투과력이 세지. 6월 15일, 일본 도쿄대학교 지진연구소 다나카 히로유키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위치를 기록했습니다. 추적 결과, 소노란사막거북은 한 주에 100~200m 정도 이동하며 약 0.02km2 정도 넓이의 땅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혹 몇 마리는 2~5km 정도 이동해 보호구역을 벗어나 민가에 가기도 했어요. 어떤 거북은 일주일 사이에 3km나 이동해서 보호구역 바깥에 있는 건설 ... ...
- [숫자뉴스로 보는 뉴스] 어린이를 위한 병원, 10년 동안 1/40 줄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말해요. 조승복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어린이는 몸무게에 따라 정확한 양의 약을 줘야 해요. 어린이의 몸에 꼭 맞는 진단이 가능한 소아청소년과가 사라진다면, 어린이가 아플 때 위급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어요.”라고 말했어요. 용어 설명 의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가 30개 미만인 ... ...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남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타니스트로페우스의 긴 목이 약점이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포식자의 표적이 될 위험에도 불구하고 긴 목은 1억 7500만 년에 이르는 긴 시간에 걸쳐 해양 파충류에서 계속 발견된 특징이에요. 스테판 스피크만 박사는 “긴 목이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지원이 거의 없다”며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어요. 김예은 매니저는 “10년간 참여한 약 2만 4000여 명의 대원들 덕분에 논문도 4편이나 출간되고,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서식지를 복원할 수 있었다”며 “지사탐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전했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통가 화산이 분출할 때 반경 약 140km 내에서 19만 2000번의 번개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지요. 또한 1분당 최대 2615번 섬광을 만들어 냈고, 일부 번개는 해발 20~30km 높이까지 전례 없이 높게 발생했는데, 이전에 측정된 18km 고도의 번개보다 더 높고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전력 전송 장치인 ‘메이플’을 통해 이뤄졌습니다. 메이플 내부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약 30c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요. 수신기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이를 전기로 변환하면, 송신기가 전기를 전파의 일종인 마이크로파로 바꿔 지구로 전송합니다. 연구팀은 전파가 만나 더해지는 ‘전파 간섭’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