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BTS 랜선 콘서트 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컴퓨터 언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하나의 언어라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둬야 합니다. Q3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도전 정신과 끈기를 키우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문제가 생겼을 때,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너무 신기하잖아! 그래서 최 연구원은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파이썬’이라는 코딩 언어로 해볼 수 있는 간단한 시뮬레이션 문제를 내줬어. 시뮬레이션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은 한번 도전해 봐! 그럼 우리는 이만 사탕 보물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갈게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도레미파솔라시도’라는 음계를 조합해 무한에 가까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내가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분석하게 된 이유다.뮤지션과 연구자라는 직업은 ‘그래서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어요’ 식의 해피엔딩이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보다는 계속해서 문제를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이 데이터의 크기가 모두 합쳐 350GB나 됐죠. 또 이루다는 자연어를 이해하는 기술과 언어모형을 탑재한 대화형 AI로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 결과 순식간에 페이스북 팔로워 10만 명, 서비스 사용자 40만 명을 모았습니다.그러나 출시된 지 2주 만에 이루다의 다른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수학이라는 언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AI가 학습하는 과정은 함수를 사용해 또 다른 함수를 만드는 과정이에요.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수학과에서 딥러닝을 어떻게 더 잘 학습시킬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이동헌 ... ...
- 에디터토크 2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이언스’ 섹션에 실렸다. 어떤 섹션인가.김소연 기자: 논란이 되는 과학 주제를 평이한 언어로 상냥하게 풀어주는 새로운 섹션. 근데 나 황새 보러 다녀왔다. 황새 짱 크다! +_+편: ? 평이한 문체의 기사는 기존에도 있었다.소연: 내용도 젊은 세대 감각에 맞춰 선명하게 구성. 그나저나 뱁새는 황새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인터넷전화서비스 스카이프도 이 기술을 이용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이탈리아어 등의 언어에 대한 음성 통역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021 vs 2092 로봇이 인간 같은 피부를 가질 수 있다? AI 로봇 업동이는 재치있는 유머를 구사하는 것은 물론, 선원들과 고스톱을 치고 열심히 돈도 모은다.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특징 등을 통계적, 확률적으로 분석해 작가를 구분하는 연구에서 많이 쓰인다.폴란드 언어학자 윈센티 루토스와프스키가 이 방법으로 고대 철학자 플라톤이 저술한 글을 시대별로 분석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비트코인 개발 관련 논문을 단서로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를 찾을 때 이 기술을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듣고 고양이는 몇 번 야옹거렸다. 아무리 봐도 의원의 말을 알아듣는 것 같지는 않았다. 언어 통역 장치는 최대한 고양이가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의원의 말을 야옹, 갸르릉 하는 소리의 조합으로 변형해서 들려줬지만, 그래도 고양이가 그 말을 이해한다는 생각은 안 들었다.“이런 내용을 이해할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피부와 근육, 혈액, 뼈, 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세포입니다. 피부세포와 근육세포, 적혈구, 골세포, 망막세포 등은 모양과 기능이 모두 판이하게 다릅니다. 우리 몸에는 이렇게 천차만별의 특성을 지닌 세포가 200여 종 있습니다.그런데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모양과 역할이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