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뇌 복제는 곧 ‘영생’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불로초를 찾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결정적으로, 뇌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인 뉴런들의 활성화 패턴을 완벽하게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뉴런은 서로 연결돼 있고,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인지, 기억, ... ...
- [단편소설]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지난 줄거리현세의 자본력에 따라 내세의 등급이 인간, 동물, 식물로 정해지는 세계에 사는 설진은 가족에 대한 애정이 거의 없다. 식물 등급을 받은 아버지가 태어날 위치를 알 수 있는 내세 좌표를 받기 위해 구청에 들렀다가 어쩔 수 없이 구청 직원과 신경전을 벌인다. 이후 회사의 중요한 프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그리고 최근 핫한 전기자동차까지.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모터를 쓰지 않는 제품을 찾기는 힘들다. 그리고 모터에는 자석이 반드시 들어간다.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자석을 생각해보자. 그 주변에서 강력한 다른 자석을 회전시키면 축을 지닌 자석이 회전하면서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그 노트북을 발견했을 때, 나는 최후의 준비로 물건을 정리하는 중이었다. ‘드림서비스’가 2주 뒤에 예약되어 있었다. 지난 한 달간 바빴다. 변호사를 만나 계약서를 쓰고 전문의와 상담을 했다. 오늘 아침엔 가구를 정리하기 위해 업체를 불렀다. 세탁기, 스타일러와 그 밖의 가전들이 해체되어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 수 없다면, 과학자들은 왜 양자전송에 관심이 많을까? 양자전송의 첫 단계인 양자얽힘을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양자전송은 아마도 ‘우리가 실험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순간이동과 가장 비슷한 기술’일 것이다. 현재 실험실에서 이뤄지는 양자전송은 한 입자가 가진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는 누구일까?”장영실, 이휘소, 석주명 등 많은 사람이 떠오르지만, ‘씨 없는 수박’을 발명한 것으로 유명한 농학자 우장춘을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는 얼마나 같고 얼마나 다를까요. 야생의 숲부터 동물원까지, 비인간 영장류가 보여주는 진화적 연결고리를 앞으로 6화에 걸쳐 연재합니다.2017년 7월 12일 / 오늘의 긴팔원숭이 가족: A가족 / 날씨 맑음 “열대우림 속 나무들로 하늘마저 가려진 이 숲 속에서 마침내 미지의 유인 ... ...
- [광고]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리가 올 한 해 동안 탄소중립을 위해 어떤 실천을 했는지 확인해 볼까요?”12월 3일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에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이 참석했습니다. 탄소중립 전문가 3명과 기후행동 1.5℃ 앱 이용자들이 함께 탄소중립 생활 실천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었죠. 탄소중립 생활 실천, ... ...
-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자 주 : 2022년 11월 초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회의 결과 및 한국과 국제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담은 기고문을 보내왔다.이집트 시나이반도의 아름다운 휴양도시 샤름엘쉐이크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이고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생명체가 고등하다 혹은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