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신경다양성’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신경다양성이 무엇인지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를 번역한 강병철 번역가 겸 소아과 의사에게 들었다. 자폐란 현상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미국의 소아정신과 의사 레오 카너다. 카너는 존스홉킨스 대학병원에서 일하면서 ‘스스로 고립되려는 강한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작가와 협업해 청소년 판타지 소설을 쓰게 됐다. 이번 8월을 시작으로 신라시대 해적과
역사
서 속에 등장하는 괴물을 소재로 한 모험극인 ‘곽재식 크리처스, 신라괴물해적전’ 시리즈를 출간할 예정이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방법을 배워온 대선배”라고 했다.“제가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는 지구의 46억 년
역사
를 시계처럼 두고 생물의 출현과 멸종 시기를 그려보는 거예요. 지구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 그리고 산업혁명 이후 기후변화 패턴을 가늠해보다 보면 인간이 번성한 시간이란 정말 짧죠. 한 종으로서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동아>가 예상했던 대로 한국 수학의
역사
가 다시 쓰였습니다.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및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에서 교육받은 수학자 중 처음으로 필즈상을 거머쥔 것이지요. 국제수학연맹의 도움을 받아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기 전인 6월 15일 허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 ...
[특집] 위성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계절 연구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과거에도 사람들은 농사를 위해 계절에 따른 식물의 변화를 기록했어요. 최근 식물계절이 기후변화의 핵심 지표로 주목받자 과학자들은 위성과 드론까지 동원해 연구하고 있 ...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이 마련되면 참여가 쉬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답니다. 식물계절 연구의
역사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금까지 지구
역사
상 5번의 대량멸종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지질학자들은 어쩌면 지금이 6번째 대량멸종 시기일지도 모른다고 우려합니다. 인류가 환경을 파괴하면서 수많은 생물을 멸종의 위기로 몰아넣고 있기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연구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단기간에 수학의 발전을 이룬
역사
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하승열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이번 IMU 5그룹 승격과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수학을 ... ...
[IMU 아바쿠스상 인터뷰] “여러 분야를 연결해 깨달음을 주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브레이버먼 교수가 IMU 아바쿠스 메달을 받고 미소 짓고 있어요. 컴퓨터과학은
역사
가 그리 길지 않아 새롭게 밝힐 연구도 많을 텐데요.앞으로 어떤 연구로 우리를 놀라게 할지 기대됩니다 ... ...
ICM 주요상 수상자의 서재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게 오르크 칸토어,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레온하르트 오일러 등 이름만 들어도 알법한
역사
속 수학자들을 직접 만나지요. 재밌는 이야기에 빠져 있다 보면 어느새 다양한 수학 원리를 탐구하고 있게 됩니다. 가우스상 수상자 엘리엇 리브 교수는 을 추천했어요. 이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는 “모든 학생들이 시험기간임에도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며 “반려동물 문화를 지
역사
회에 전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이날의 결과물은 더덕 꽃이 피는 2년 뒤 확인할 수 있다. 황 대표는 “한여름이 지나고 9월부터 산타독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할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