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때 나타났다. 문화권에 따라 특정한 리듬을 인식하는 비율이 확 달라지기 시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루과이 사람들은 3:3:2 리듬을 세계 평균보다 잘 인식했다. 우루과이의 전통 음악인 칸돔베 음악의 주 리듬이 3:3:2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연구팀은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리듬이 ... ...
- [특집] 생전 모습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의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또 미라 옆에서 발견된 옛 문서가 있다면 서체와 종이를 연구하는 분께 물어봐야 할 거예요. 몸속에서 꽃가루가 발견된다면 식물학자와 함께 새로운 사실을 알아낼 수도 있죠. 이렇듯 자기 분야에서 최고의 조언자가 될 수 있다면 자신만의 새로운 관점으로 미라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용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안전 가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잊어서는 안 되죠. 중요한 것은 메타버스 이용법이라고 해서 특별한 것이 아니라는 거예요. 집에서, 교실에서, 친구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약속과 같은 거죠. 결국 메타버스도 공동체가 함께 사는 공간이라는 의미랍니다. 설명●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
- [냠냠! 어수잼] 캐러멜과 젤리 포장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저었어요.“그렇지 않아요. 젤리들을 다시 붙여 봐요! 2cm씩 4개를 합해서 8cm가 될 거예요.”작은 거북은 젤리를 이어보더니 놀란 표정을 지었어요.“그렇구나! 오해해서 미안해요. 나눈 것을 다시 합치면 원래와 똑같네요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가 필요하고, 그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증명해야 해요. 예를 들어 ‘어떻게 하면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만들까?’라는 문제 제기를 했어요. 이후 ‘휴대기기 안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을 공정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불순물이 들어가는데, 이 비율의 차이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는 수학자가 푸는 문제처럼 아무도 답을 모르는 미해결 문제예요. 출제자도 답을 모르지요. 폴리매스 홈페이지 → [폴리매스 문제] 게시판에서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혼자서는 풀기 어려운 문제를 함께 풀어 보세요. 폴리매스 규칙을 잘 지키며 문제를 풀면 국내 최고 수학자에게 ...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같은 것”이라고 한 적도 있죠. “과학자들이 하는 연구의 80%는 우리 같지 않을 거예요. 그들은 명확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연구하죠. 우리는 연구 분야도, 결과도 명확하지 않은 연구를 합니다. 우리가 하는 20%의 연구는 80%의 연구가 해결하지 못할 문제를 위한 백업인 셈입니다.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체내에서 소화되지 않는 ‘가짜 당’을 찾는 것이다. 앞서 맛봤던 알룰로오스가 한 예다. 알룰로오스는 탄수화물의 한 종류인 과당의 이성질체다. 3번 탄소에 붙은 수산기(OH)의 위치가 다른 것을 빼고는 과당과 분자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나 그 미세한 차이로 인해 몸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열량을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의 MR 콘텐츠 경험이 가능해지는 최근 추세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예상됩니다. 동시에 EMS를 활용한 방식에는 아직 여러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도 인식해야합니다. 먼저 인체의 근육에 기반하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도 증가의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근육의 양과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접선의 기울기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구할지 관심을 가진 건 16, 17세기예요. 대표적인 인물로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1607~1665)가 있지요. 페르마는 처음에 ‘극점’을 어떻게 찾을까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극점에는 함수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극대점’과 감소하다가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