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형"(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급부상했다. 지난해 4월, 조병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입을 수 있는 섬유형 열전소자를 개발했다. 기존 열전소자는 단단하고 무거워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조 교수팀은 유연한 섬유 위에 열전소자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같은 전력을 생산하는 기존 소자에 비해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들었어요. 불교문화가 이렇게 다양하고 화려한 줄 알았다면 7가지 문양 말고도 17가지 유형의 벽지 문양을 모두 찾아볼 걸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에요. 벽지 문양이란 일정한 조각이 상하 좌우로 반복되는 문양을 의미해요. 띠 문양이 1차원이라면 벽지 문양은 2차원이 되는 것이지요. 혹시 ... ...
- [Hot Issue] 가마에 오르면 사람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걸까.자리와 권력감이 사람을 바꾼다심리학에서 권력(power)이란 상대방에게 내 뜻대로 유형 또는 무형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힘으로 정의된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심리학자 애덤 갈린스키의 실험을 하나 살펴보자. 갈린스키는 참가자를 갑(甲)과 을(乙) 집단으로 나눴다. 갑 집단에게는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이렇게 되면 사람은 금방 멸종될 거야. 왜냐고? 유전자가 다양하지 못해서지.한 가지 유형의 유전자를 가진 사람만 있으면 특별한 병이 생겼을 때 모든 사람이 이겨내지 못할 가능성이 높거든. 반면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많으면 어떤 병이 생겼을 때 그 중에 일부 유전자가 그 병에 강해서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있다고 하니 대단하지? 특정공포증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해. 친구들은 어떤 유형의 공포증이 있는 것 같니? 공포, 당연하거나 병이거나친구들도 적어도 하나씩은 해당하는 무서운 게 있지? 하지만 무섭다고 해서 다 공포증은 아니래. 심지어 공포는 뇌가 발달하면서 당연히 느껴야만 하는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정서에 가장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담원에게 연결해준다. 고객과 상담원을 성격 유형으로 분류해, 전화 업무를 더 빠르고 만족스럽게 처리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알고리듬이 활약하는 예는 이뿐이 아니다. SNS의 개인 정보나 인터넷 검색 기록을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는 건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3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것이다(이후 연구에서는 유형 수를 더 줄일 수 있었다). 그 뒤, 각 유형을 일일이 컴퓨터로 분석했다. 무려 1200시간 동안 쉬지 않고 컴퓨터를 돌린 결과, 인접한 영역을 각각 다른 색으로 칠하는 데 필요한 최소 색상은 4가지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사실 컴퓨터를 이용해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입자가 아니라 아주 작은 끈으로 보는 이론이다. 이 끈은 끊임없이 진동하는데, 진동하는 유형에 따라 고유의 성질이 생긴다. 또 수많은 차원에서 각각 고유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물리법칙에도 위배되지 않는, 마치 게임에서 깍두기 같은 존재다.영화의 절정 부분에서 나오는 5차원 공간은 ... ...
- [수학뉴스] 도시의 형태를 수학으로 비교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지도인 ‘오픈스트릿맵’을 이용했다.이를 통해 도시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네 가지 유형의 구획 분포 형태를 찾아냈다. ①직사각형과 정사각형 모양의 구획으로 구성된 중간 크기의 격자 형태, ②다양한 모양의 작은 구획이 촘촘하게 있는 형태, ③중간 크기인 여러 모양의 구획들이 성기게 있는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최전선, 양자생물학이다. 우리는 유기체 내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새로운 유형의 물리학 법칙을 기꺼이 찾아야 한다. 혹시 그 법칙을 비물리학적인, 아니 심지어 초물리학적인 법칙이라 불러야 할까? 아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 새로운 원리는 전적으로 물리학적이다. 그 원리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