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많아요. 따라서 어린이는 VR기기를 사용하더라도 10분 이내로 이용하고 적어도 10분
이상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VR기기는 강한 불빛으로 눈을 자극하므로 뇌전증, 광과민성 발작 등의 경험이 있는 어린이는 의사의 동의 없이 VR기기를 사용해선 안 돼요. 두 번째는 안전에 대한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증명하는 문제예요. 그는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만들어 특정 구조를 가진, 조금 더
이상
적이고 간단한 상황에서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은 위상수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어요. 이 이론에 등장하는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은 기존에 위상수학 문제를 풀 때 사용하던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규모 면에서 부족했다. 디아코니스 교수는 D-H-M 모형을 실험으로 입증하려면 약 25만 번
이상
동전 던지기를 수행해야 한다고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가 이끄는 유럽 대학 공동연구팀이 총 35만 757번의 동전 던지기를 시행했다. 실험 참가자 48명이 46가지 종류의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노력에서부터 시작됐는데요. 제44회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
이상
을 받은 12명의 학생도 라이트 형제와 구텐베르크처럼 관찰한 것에서 궁금증을 가지고 아이디어를 내서 우리 삶에 도움을 주는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이 포착한 발명 아이디어의 순간을 지금 바로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있다. GNSS의 원리는 이렇다. 다수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뒤 지구 어디에서나 4개
이상
의 위성에서 신호를 동시에 받아 위성에서 수신기까지 전파 도달 시간을 잰다. 이를 토대로 3차원 위치 좌푯값을 알아낸다. 인류는 GNSS라는 기술이 나오기 훨씬 전부터 지구를 항해하고 탐험했다. 지구 위의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DNA를 다시 조합해서 분석할 때, 해당 반복 서열이 10번 반복되는지 100번 반복되는지 1000번
이상
반복되는지 컴퓨터로도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03반복 서열을 극복할기술을 개발하다 심지어 반복 서열은 전체 유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양이 많았다. “X염색체나 Y염색체 같은 성염색체,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궤도를 추적하고 감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실제로 우주 쓰레기 중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
인 것들은 그 궤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고, 최근에는 지구와 달 사이인 ‘시스루나’ 공간의 우주 쓰레기 궤도를 추적하는 연구도 이뤄졌다. 미국 퍼듀대 연구팀은 달 주변의 우주 쓰레기를 모델링하고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계획에 의하면 화성 표면의 대기를 조성하고 온도를 높여 지구 수준으로 만드는 데 360년
이상
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핫 캡 같은 간단한 구조물을 활용해 단기간이나마 유전자 조작 식물을 키워냈다는 성과는 테라포밍의 시계를 앞으로 꽤 당기는 기점이 됐다. 물론 이것도 화성의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지진 안전 지대라고 불려 왔지만,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고 해요. 5월에도 규모 4.5의 지진이 동해안에서 발생했죠. 역사상 가장 무서웠던 지진은 어떤 지진일까요? 건강하게 살을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시아비만학회장 가천대학교 김경곤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학문적인 틀 안에 있었다”고 말했어요. 학계에서는 h회
이상
인용된 논문의 수가 h개
이상
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h의 최댓값을 ‘h지수’라고 해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