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결과는 한강 유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13년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기상학적 조건이 변했을 때 한강 지역이 어떻게 변화할지 알아봤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한강유역 17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가 개발한 유역모델인 SWAT과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농경지 퇴비로 재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김이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자원재생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은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사료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전파하는 매개원으로 알려지면서 2019년부터 사료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됐다”며 “현재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 난 최고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도전하는 탐험가 문어야.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둥근 지구를 평평한 종이에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고민해 왔어.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점토판, 양가죽으로 만든 양피지, 심지어 노랫말로 만든 지도가 전해져 왔지. 지도는 어떻게 만드냐고? 날 따라 와! ▼이어 ...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어요. Q해저지질도는 어떻게 만드나요?저희는 매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연구선을 타고 탐사를 떠납니다. 승선 기간은 15~20일 정도인데, 바다 날씨가 예측하기 어렵고 변동도 커서 3교대로 24시간 내내 탐사를 수행하는 일이 빈번해요. 자료를 모으는 기간은 얼마나 넓은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0.1016/j.marpetgeo.2016.03.005하지만 연안의 강줄기는 정확히 알아낼 수 없다. 이상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수심이 얕은 지역은 탄성파로 분석할 수 없고 새로운 퇴적물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과거의 흔적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한반도와 일본 ... ...
- [기획] 통제 가능한 폐기물 분해, 소각장과학동아 l2021년 06호
- 2t씩 소각한다”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소각시설에서 활용하거나 음식물 자원화 시설의 건조, 건축설비의 냉난방, 그리고 열병합발전에 활용한다”고 설명했다.법적으로 일반폐기물은 850℃ 이상, 지정폐기물은 1100℃ 이상의 고온에서 소각해야 한다. 구재회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은 ... ...
- [특집]딸기 독립 만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인류를 모두 먹여 살릴 수 없어요.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 자연재해로 식량자원을 지키기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에요. 따라서 인류의 먹거리가 되는 신품종 육성은 아주 중요하죠. 신품종 산업을 둘러싸고 세계는 이미 소리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어요. 따라서 국산 신품종을 개발해 ... ...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잠깐, 육종 기술이 아직 하나 더 남았어! 그런데 이게 ‘생물주권’과 관련이 있다고?사회 시간 교과서에서나 보던 그 ‘주권’이 여기서 왜 나와?! 교배육종은 ... 것이 무서워도 그 속으로 들어가요. 그리고 새로운 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생물자원을 찾아가는 원동력이 된답니다 ...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수 없다고 답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며 “매립지와 소각시설은 다른 시설에 비해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이미지가 없고,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부정적 인식이 오랫동안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매립지의 경우 넓은 토지 면적을 오랫동안 차지한다는 부담도 더해진다. 매립지 주변 지역에서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