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나만 누르면 원격으로 물을 줄 수 있다. 나는 이런 기술들을 공부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농업 전문대인 연암대에서 일을 시작했다.꿈은 먼 미래에 생각지 못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다고 믿는다. 한국은 혼자 힘으로 발사체를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나라가 됐다. 머지 않은 미래에는 달에도 ... ...
- [기획] 우주의 소리 메아리 블랙홀의 협주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중력을 지닌 블랙홀이 있어요. 블랙홀의 중력이 끌어모은 기체(공기)가 블랙홀의 진동을 전달해줄 수 있는 거죠. 이 진동은 너무 낮은 음이어서 사람이 들을 수 없었어요. 5월 4일 NASA는 이 소리의 진동수를 약 14만 조에서 28만 조 배만큼 높여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으로 만든 뒤 공개했어요. 약 5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반대로 뇌의 명령을 몸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 안에서 일어나는 정보들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거예요. 뇌가 직접 명령을 하기도 하고, 신경계가 무의식적으로 반응하기도 하지요. 우리가 부끄러움을 느끼는 순간 얼굴이 빨갛게 변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어요. 부끄러울 때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2. 신박한 정리 기계 아이템 자동 분류기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횃불은 꺼져요. 그러면 호퍼3에는 신호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호퍼2의 아이템 하나를 전달받아요. 그럼 다시 호퍼2의 아이템의 개수는 22개가 되고, 신호의 강도는 다시 1이 되지요. 결국 레드스톤 횃불이 다시 켜지고 호퍼3은 아이템을 받지 않습니다. 이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아이템이 상자로 ...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구성하는 페르미온 입자 12개(쿼크 6개, 렙톤 6개)와, 페르미온 입자들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는 게이지 보존 입자 4개, 그리고 힉스 입자까지 총 17개의 입자로 자연계를 설명한다. 1960년대 말부터 쿼크가 발견되기 시작해 16개의 입자가 차례로 발견됐지만 유독 힉스 입자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점일 겁니다. 딱딱한 알껍데기 덕분에 흰자와 노른자는 추가적인 공정 없이 식탁까지 전달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딱딱한’이라는 단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딱딱함 덕분에 알껍데기는 오랜 시간 보존하기에 상당히 유리한 물질이고, 따라서 화석이 되기에도 유리합니다. 알 화석은 전 ... ...
- [기획] 지구온난화, 화산폭발 감시한다! 소리 터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터널에서 물고기들을 춤추게 만들지. 이 소리 터널에서는 아주 먼 거리까지 내 노래가 전달될 수 있어. 지구 반 바퀴까지도 퍼질 수 있다고. 내 음악을 바다 너머 더 먼 곳까지 알리고 싶은데, 다른 데에는 소리 터널이 없으려나? 또 다른 소리 터널을 찾아보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기획] 하늘의 소리터널 열기구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노래를 멀리 전달할 수 있게 됐어. 소리가 멀리까지 이동하는 소리 터널이 하늘에서도 발견됐거든! 하늘 위 소리 터널은 어디 있냐고? 열기구로 소리 터널을 찾아내다!4월 22일 미국 산디아국립연구소 사라 알버트 연구원팀이 하늘에서 소리 터널을 탐지했다고 발표했어요. 그간 과학자들은 ... ...
-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이용하는 것이었는데, 전신은 제대로 작동만 한다면 이 둘보다 훨씬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원래 화가였던 사무엘 모스는 1832년 이탈리아 유학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오던 배에서 과학자 찰스 잭슨의 강연을 듣고 전자기학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이후 교수로 일하던 미국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때문이다. 중성미자는 우주에서 빛(광자) 다음으로 숫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힘을 전달하는 입자가 금방 사라지는 탓에 극히 일부만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유령 같은 중성미자의 존재를 처음 예견한 사람은 오스트리아 출신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였다. 파울리는 1930년 중성자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