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가"(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인간과 동물 사이의 장벽은 환상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켈리 하딩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다정함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정신의학 전문가다. 다정함에는 가족과 친구, 이웃과 맺는 친밀한 관계, 직장이나 학교에서 북돋아주는 고취감 등이 포함된다. 하딩 교수는 다정함의 효과를 증명하는 수많은 임상 사례들을 책 ‘다정함의 과학’에 ...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사탐 대원이 이젠 연구 동료가 됐다는 게 새로운 풍성함이기도 해요. 과학 연구는 전문가만 하는 줄 알았어요.기술이 발전하면서 시민들이 수집해준 자료를 충분히 신뢰할 수 있게 됐어요. 시민이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서 앱에 올리면 연구자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고, SNS의 발달로 ... ...
-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푸른 점’ 향기 개발기를 세심히 기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향의 역사와 과학, 의학을 전문가와 짚었습니다.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향을 만나고 있지만, 향의 정체나 향을 느끼는 원리는 잘 모릅니다. 이번 특집이 그런 궁금증을 풀어줄 것으로 예상합니다.이번 호를 마무리하며, 저만의 창백한 ...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제6기 에너지위원회 등에 민간위원으로 참여하며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했다. “탄소 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를 막고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데에는 누구나 동의해요.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느끼죠. 이노마드는 기업과 개인에게 당장 ...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것이 중요하다”고 시민과학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같은 연구소의 김동광 교수도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과학에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과학을 깊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죠. 현대의 시민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과학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프로젝트 ‘GLOBE’에 참여하는 시민과학자이기도 한 김범학 선생님은 “과학은 소수의 전문가가 아닌 다수의 시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죠. 김범학 선생님은 지구 환경에 관심이 있었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게 중요하다고 여겨 GLOBE를 시작했다고 말했어요 ...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레시피라도 어떤 조향사가 만드느냐에 따라 다른 향수가 나올 수 있다. 같은 요리를 해도 전문가와 아마추어가 만든 음식의 맛이 다르듯, 향도 조향사의 경험과 실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향을 조제할 때 조향사의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자크 겔랑은 조향사로 활동하면서 수백 개의 향을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의사도 데이터 공부 필수인 시대 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의료 정보를 나눠왔다. 지난해 말에는 데이터를 통해 연구를 하고자 하는 의학 및 보건학 전문가를 위해 자신의 R 강의록을 엮은 책 ‘R 통계의 정석(사이언스북스)’도 펴냈다. 독학 경험을 살려 통계 비전공자가 두려움 없이 실습할 수 있게 썼다. 그는 “데이터를 악용해 남을 현혹하는 일들이 많이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줬더니 믿지 않더라고. 인공지능이 먼저 엄마라고 부르는 건 불가능하다고. 모르겠어. 전문가가 그렇다면 그런 거겠지. 하지만 난 분명히 들었는걸.”“당시의 알고리즘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저도 없어요. 처음 들어보는 사례이기는 해요. 그래도 개별적으로 필터를 걸어 놓는 방식은 아니었을 ... ...
- [이달의 필수경제] 2022년 설 명절 특선 재난기사,인플레이션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자체보다도 인플레이션을 더 우려합니다. 지난해 12월 미국 블룸버그가 전 세계 경제 전문가 8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세계에 닥칠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인플레이션(31%)이 꼽혔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변이(26%)와 전쟁(23%)을 제친 결과입니다. 지난해부터 이미 알루미늄, 리튬을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