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준수
d라이브러리
"
지키기
"(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매력이 주렁주렁 호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되면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집으로 찾아온다고 생각했대. 이러한 귀신들로부터 집을
지키기
위해 주홍색 호박의 속을 파고 겉에 도깨비 얼굴을 새겨 넣은 등을 집 앞에 달아두었지.이런 풍습은 아일랜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할로윈 축제의 형태로 전해졌어. 지금은 미국과 유럽의 대표적인 ... ...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다친 나를 잡아먹으러 다가와요. 그 때 푸드득 날아가는 기분이란! 앞으로도 자식을
지키기
위해 감쪽같은 연기를 선보일 참이니, 저를 표지 모델로 써 주시어요~!널리 인간을 이롭게! 홍익인간을 실천하는 동물들액션이라기보다는 어째 속임수에 가까워 보이는데…, 묘하게 설득력이 있군요.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놀랍지?잠깐! 고추가 매운 이유는 곰팡이 때문? 고추가 매운 이유는 곰팡이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해요.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슈아 튁스 베리 교수팀은 세상에서 가장 매운 고추인 ‘아바네로’를 연구했어요. 그 결과 고추에 구멍을 내는 곤충이 많아 곰팡이가 고추 안으로 쉽게 들어오는 ... ...
모로코왕궁 침투작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왕궁을 습격해서라도 단서를 손에 넣을 수있다. 하지만 너희가 제시한 두 번째 조건을
지키기
위해 몰래 잠입하겠다는 거다. 알겠나?”바르바리 해적선 선장의 말을 듣고 도형은 어쩔 수 없이 퍼즐을 푼다.“선생님, 어떡해요? 진짜 큰일이에요.”“그, 그러게 말이다. 난 그냥 적당히 하고 도망치려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시각은 오전 11시. 1만 500km를 비행하는 데 겨우 2시간도 안걸린 셈이다. 12시 점심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서울로 향하는 발걸음이 여유롭다.항공기 추진기관을 연구하는 엔진공학자들에 따르면 이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꿈이다. 음속의 6배에서 빠르게는 15배까지 낼 수 있는 ‘스크램제트’라는 새로운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금도 따로 먹어야 한다. 사람의 피는 0.9%의 염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세포의 삼투압을
지키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음식도, 물이나 소금도 전혀 먹지 못한 상태에서 가장 오래 생존한 사람은 누굴까. 기네스북에는 오스트리아의 18살 소년 ‘안드레아 마하비츠’가 1979년에 세운 기록이 남아 있다.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로봇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다. 아쉽게도 지금의 로봇 기술로는 지구를
지키기
힘들다. 두 발로 걷거나 뛰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2009년 11월 KAIST 오준호 교수팀이 개발한 휴보2는 국내 처음, 세계 세 번째로 달릴 수 있는 로봇이다. 하지만 달리는 속도는 어른 걸음걸이 속도와 비슷한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어난다.애국심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이 전쟁이다. 자기 집단(예를 들어 국가)을
지키기
위해 다른 집단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바치는 건 명예스런 행위로 추앙받는다. 그런데 많은 경우 상대편에서도 죽은 사람은 명예를 얻는다.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학과 카르스텐 드 드루 교수팀은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좋은 음식을 먹거나 운동을 꾸준히 해 건강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해 평소부터 노력하고, 전문의를 찾아가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정신과를 드나들면 미친 사람으로 보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정신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닌지 의심이 들더라도 쉽게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제도가 자리 잡으면서 개인의 무언가를 지킬 필요성이 생겼다. 자물쇠는 소중한 물건을
지키기
위해 등장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자물쇠의 흔적이 처음 발견됐다.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자물쇠는 잠금목이다. 잠금목은 이집트 사원의 벽화에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