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뒤에, 남자 주인공의 행동 의도를 추론하는 방식이죠. 연구 책임자인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아직 과학적으로 활용할 수준은 아니고, 인공지능 성능을 평가하는 데 참고할 정도의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AI, 군수 분야 빠르게 침투 중 자율 드론, 자율 군용 차량 등 AI 기반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실리코(in silico)란 신조어가 있어요. 컴퓨터로 과학을 하는 분야를 말해요. 여기서 따온 실리코에 제약분야를 가리키는 팜(pharm)을 붙여 만든 이름이에요.” 2021년 7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대학원생들이 모여 실리코팜을 설립했다. 실리코팜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생체 내 ... ...
- [킹앤포] 숨은 닮음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제공합니다. 오늘은 어떤 선배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왔을까요? 안녕하세요. POSTECH 컴퓨터공학부 2학년 학생이자 마르쿠스 부회장을 맡고 있는 권찬우입니다.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삼각형의 닮음’을 배우는데요. 닮음의 성질이 단순히 삼각형과 모양이 비슷한 것을 넘어서 다양한 기하학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소문 때문이었다. 튜링 테스트는 1950년 AI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 앨런 튜링이 고안한 것으로 질문을 던져 상대의 답변을 끌어내 이 상대가 인간인지 기계인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기계의 능력을 평가한다. 기계가 얼마나 인간다운 대답을 내놓는지가 이 테스트의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일으켰다. 채티는 채팅 어플계의 혁신이자 인공지능 발전의 특이점이라 불렸다. 1차로 컴퓨터 전용이 개발되었고 1년의 간격을 두고 2차로 안드로이드 전용이 개발되었다. 내가 채티를 겪은 것은 1차와 2차 사이였다. 한창 유행이 오던 시기에 그냥저냥 유행 따라, 남들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으로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km 떨어진 곳으로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 현상을 검증하고 양자컴퓨터 등 양자기술 시대를 여는 데 공헌한 공로로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 빈대 교수도 양자전송을 연구했다. 1997년 세계 최초로 광자를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한 일은 그의 최대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단면처럼 둥글었어요. 처음에는 항문의 형태가 사각형이 아닐까 의심했죠.”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CT) 본 웜뱃의 똥구멍은 다른 동물과 다를 바 없이 평범하게 동그랬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로드킬 당한 웜뱃의 내장에 풍선을 집어넣고 부풀렸더니, 내장의 특정 부분만 덜 부풀었다. 웜뱃 창자의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해요. 이를 위해서는 여러 테스트와 많은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굉장히 빠른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서 작업했지요.”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와 충돌할 당시 DART 팀이 한곳에 모여 실시간으로 충돌 직전 상황을 지켜봤다고 해요. 우주선이 소행성에 정확히 충돌하자 그곳에 있던 모든 사람이 큰 소리로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통신에서도 ‘연결’이 관건인 상황이다. 연구자들의 노력 끝에 큐비트 소자가, 양자컴퓨터가, 더 많은 양자가 연결되길 바란다. 그 결과 양자정보과학 분야가 날개를 다는 날을 기대해 본다 ...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자랑합니다. 과연 8년 만에 이런 빌딩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건축 기술과 컴퓨터 설계 기술, 시멘트 기술 등의 발달로 500m 높이의 초고층빌딩을 짓는 것이 기술적으로 무리가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실제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