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티콘 사전] 부등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아래에 선분을 하나 그어서 ‘[?]≥3’과 같이 나타내요. 이때 [?]은 3일 수도 있고, 3보다 큰 수일 수도 있지요. 반대로 어떤 기준보다 작거나 같은 수를 나타내고 싶다면 ‘[?]≤5’와 같이 나타내요. 이때 [?]은 5일 수도 있고, 5보다 작은 수일 수도 있지요. 이러한 부등호는 [?]이 어떤 수인지 모를 때 ... ...
- [똥손 수학체험실] 바나나 2와 1/2개, 아몬드 6/5컵?! 알쏭달쏭 똥손 파티세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더 큰 숟가락으로 재료를 뜬다는 의미예요. 1큰술은 약 15mL 또는 15g이지요. 작은술은 1큰술의 약 1/3이에요. 미국은 ‘컵’ 단위를 많이 사용해요. 1컵, 또는 1컵보다 조금 적은 2/3컵, 1컵의 절반인 1/2컵 등으로 재료의 양을 나타내지요. 액체★일 때 1컵은 약 240mL, 고체일 땐 약 125g이에요 ...
- [DAY2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공기 방울이 생깁니다. 이렇게 프로펠러 주위에 생긴 공기 방울은 프로펠러와 부딪히며 큰 소음을 일으켜요. 이 같은 현상을 ‘공동현상’이라고 합니다.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과 저우 펭 교수팀은 공기 역학과 음향 역학을 바탕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에 이를 만큼 강한 열이 발생해요. 이 열기는 구름 속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팽창시키며 큰 소리를 내는데, 이를 천둥이라고 합니다. 벼락이 치기 위해선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먼저 지면이 가열돼 강한 상승 기류가 형성돼야 합니다. 강한 상승 기류로 돌풍이 불면, 구름 안에서 양전하와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시민과학을 이용한 소노란사막거북 연구였습니다. 소노란사막거북은 미국에서 가장 큰 육상거북입니다. 이 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아주 인기가 많아서 거북을 발견하면 한바탕 소동이 벌어질 정도죠. 사람들은 사진도 찍고, 거북을 따라다니기도 해요. 그러나 소노란사막거북은 멸종 위험이 ... ...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그런데, 1/2과 3/6을 비교할 때 더 큰 수는 무엇일까요? 3/6의 분모와 분자가 더 큰 수니까 3/6이 1/2보다 클 것 같지만, 사실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위 색종이의 칸을 비교해 보세요. 색종이 한 장을 1/2로 나눈 것과 3/6으로 나눈 것의 크기가 같지요? 3/6은 1/2의 분모와 분자에 각각 3을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24시간 내내 태양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 수 있어요. 햇빛을 반사하는 구름이 없어 훨씬 큰 에너지를 받을 수 있지요. 하지만 우주에서 만든 전기 에너지를 먼 거리의 지구로 보내는 것이 숙제였어요. 6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알리 하지미리 교수팀은 지난 1월 우주로 쏘아 올린 우주 ...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말려주세요. 지금 보물이 중요한 게 아니에요. 잭이 저렇게 매일 나무를 타다가는 정말 큰일이 날 것 같아요. 며칠 전에는 나무에서 떨어질 뻔했다니까요?”잭은 어머니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다시 나무를 타고 오르기 시작했어요.“어머니! 금방 가서 보물만 갖고 내려오면 된다니까요!”그런데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가까이 있는 것을 잘 보지 못하는 ‘원시’를 교정하는 렌즈라는 의미랍니다. 더 큰 간격이나 더 가까운 거리일 때만 끊어진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면 시력이 낮은 것이고, 더 작은 간격이나 더 먼 거리일 때도 구분이 가능하다면 시력이 높은 것을 의미해요. 소수의 값이 클수록 시력이 높은 ... ...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이상기후도 잦은 대량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요. 김동건 교수는 “최근 3년간 큰 태풍이 오지 않아 하루살이 유충들이 퍼지지 못 하고 한 곳에 뭉쳐 밀도가 늘어났다”고 설명했어요. 수온이 상승하며 성충이 되는 시기가 빨라진 것도 대량발생을 앞당겼지요. 곤충은 외부 온도가 변하면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