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han
석탄
d라이브러리
"
탄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조사를 끝낸 후 조사된 내용을 알려주는 토크 프로그램에서 퀴즈 정답을 맞춰 상품을
탄
학생들 대부분이 기자단 친구들이었어.또한 행사가 끝나는 13일 오후 2시에 24시간 동안 확인한 서울숲의 생물종의 총 수를 예상하는 이벤트에서 기자단 친구들이 1위와 2위를 차지하기도 했어. 서울숲에는 총 69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로봇 타스와 쿠퍼는 자신이
탄
우주선을 분리시켜 블랙홀 안으로 밀어 넣고 아멜리아가
탄
우주선 본체를 에드워드 행성으로 보내는 데 성공한다. 이론적으로 제시된 ‘펜로즈 과정’을 이용한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영화 속 장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가 있다”며 “한 번 더 영화를 보며 매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지은 지 1년이 지난 테이교 위를 기차가 지나가던 순간 붕괴가 일어났다. 당시 기차에
탄
70명 전원이 죽거나 실종됐다. 조사 결과 바람이 주는 압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설계가 참사의 주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 이후 다리를 지을 때 바람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만들기 시작했다.강한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중력이 너무 강해 우주선의 시간이 멈춘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주선에
탄
사람 입장에서는 순식간에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다.#3 4차원을 표현할 수 있을까?같은 장소에서 시간차를 두고 엇갈리는 남녀. 드라마에서 지겨울 만큼 자주 보던 장면이다. 둘은 같은 공간에 머물렀지만 결국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작동한다고 제안한다. 전자가 모든 경로를 동시에 훑어보고 최단경로를 찾아 고속도로를
탄
것처럼 이동한다는 것이다. 경로들이 양자 중첩돼 있어야 가능한 얘기다. 하지만 결어긋남의 요인들이 득실거리는 생명체 내에서 식물이 어떻게 결맞음을 유지하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양자생물학은 ... ...
[과학뉴스] 5분만 기다려 택시 합승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택시 앱 ‘리프트’ 이용자 중 90%가 다른 사용자와 택시를 함께
탄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한국도 ‘카카오톡 택시’가 준비 중이다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1문도 싣기 어려웠다. 이 차이도 란체스터 법칙을 역으로 이용하는 데 유효했다. 무거운
탄
환을 수 백m 날려보내는 화포는 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따라 큰 반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화포에 충격을 덜 주도록 발사시 포신 전체가 뒤로 후퇴하게 만들어졌다(영화에서 조선 화포가 반동이 없는 것은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부딪히면서 소용돌이가 생겼는데, 여기에 휘말려 애를 먹었다.이에 유리한 해류를
탄
조선군은 오후 1시 경 화포를 쏘고 충파 전술을 쓰는 등 총공세를 퍼부었다. 그러자 일본 진영은 군선이 많은 것이 오히려 독이 되어 자기편 군선끼리 서로 부딪히기 시작했다. 이런 혼란 속에서 전투의 총사령관인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빛나고 있었다. 대기의 방해가 없기 때문이었다. 갑자기 반대쪽에 있던 사람들이
탄
성을 내질렀다. 지구 쪽 창문이다. 그러고 보니 대부분의 탑승객들이 지구를 향한 창문에 몰려있었다. 우주로 와서 정작 궁금한 것이 방금 떠나온 지구의 모습이라니. 우린 어쩔 수 없는 지구인인가 보다.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잇는 교통의 중심지다. 세계보건안보센터의 데이비드 헤이만 센터장은 “비행기를 같이
탄
모든 사람을 추적해야 한다”고 말했다.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국가 중 우리 교민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다. 정부는 최근 교민 700명의 건강을 확인하기 위해 대응팀을 나이지리아에 급파했다. 한국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