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하늘의 소리터널 열기구로 최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띄웠어요. 로켓이 발사된 곳으로부터 400km 떨어진 곳이었죠. 마이크를 통해서 연구
팀
은 로켓의 소리를 세 번 들을 수 있었어요. 발사하는 로켓의 굉음을 한 번 들을 수 있었고, 로켓이 대류권계면 근처를 통과하며 상승할 때 또 들을 수 있었어요. 마지막으로 1단 로켓이 다시 대류권계면 근처를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않지만 몸의 형태와 무늬를 보면 동정할 수 있습니다. 궁금해요!박시은 대원구름
팀
Q이 곤충은 어떤 종인가요?추헌철 나비 연구원이 곤충은 녹색박각시라는 나방 종류입니다 ... ...
[기획] 바닷속 소리터널 지구 온난화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측정했지요. 그 결과 바닷물의 온도가 10년 동안 0.044℃ 상승한 것을 알아냈어요. 연구
팀
은 이 방법으로 지상에 있는 지진계보다 지진 발생 소리를 더 깨끗하게 포착할 수 있었답니다 ... ...
[만화 뉴스] 선사시대 예술 모임 장소는 모닥불 앞?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석회암의 색깔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단서를 찾았어요. 연구
팀
은 두 곳의 석회암을 비교해 발굴된 돌들이 불 근처에서 어떤 식으로 배치돼 있었는지 추정했지요. 이 정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이 따뜻하고 밝은 불 앞에 모여 예술 모임을 가졌을 것이라 추측하고, 그 모습을 ... ...
[출동! 슈퍼M] 알 리흘라, 빠르고 정확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이후 공인구의 패널 개수는 점점 줄었어요. ‘텔스타’의 패널 개수는 32개, 2006년 ‘
팀
가이스트’는 14개, 2010년 ‘자블라니’의 패널은 8개였지요. 2014년 ‘브라주카’와 2018년 ‘텔스타18’의 패널 개수는 6개밖에 되지 않았어요. 패널의 개수를 줄이고 더 원형에 가까운 축구공을 만들려고 한 ... ...
[특집] 새로운 기술로 더 편리하게 수학으로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IMU 센서가 기록한 데이터로 공을 차는 시점을 파악하고, 그 당시 골대와 가장 가까운 두
팀
의 선수들의 위치 좌푯값을 확인하지요. 단 한 점이라도 공격수의 좌푯값이 수비수의 좌푯값보다 골대에 가까우면 이 정보를 현장에 있는 주심에게 알립니다. 마지막으로 주심은 비디오를 확인하고 판정을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실력의 우열을 가리기가 힘들었는데, 최종 제출 시간이 아슬아슬하게 더 빨랐던 :P
팀
이 1등을 차지하며 최우수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제 10월에 열리는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준비하고 있어요. 여러분이 제 후배가 돼서 POSTECH에서 사람들과 프로그래밍 실력을 겨루며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LNGS에서 실험하는 ‘제논(XENON)’
팀
과 미국 SURF에서 실험하는 ‘럭스-제플린(LUX-ZEPLIN)’
팀
등 60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모였다. 유 교수는 “검출기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든다”며 “연구기관들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설명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매력적인 암먹부전나비를 잘 기록해 주었어요! 제비 전현준 대원 | 지구지킴이
팀
탐사 생물 제비발견 위치 -하정주 매니저 귀여운 제비 가족이네요! 더 좋은 기록을 위해 위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 ...
[과학 뉴스] 30분 만에 바닷물이 생수 한 컵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등 오염물질은 배출하고, 남은 깨끗한 물을 분리해 생수를 만드는 거지요. 연구
팀
은 바다 근처에 담수화 장치를 두고 물을 흡수하는 튜브를 바다에 던졌어요. 장치를 작동시켜 바닷물을 걸러 만든 생수로 30분 만에 한 컵을 다 채웠어요. 윤 연구원은 “작은 섬에서 이 장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