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히어로, 플래시는 어떨까. 플래시는 광속보다도 빨리 달릴 수 있다. 그 덕에 인구수 약 50만 명인 도시에 핵이 떨어지자, 사람들을 한 명씩 핵폭탄의 영향 범위 밖으로 옮겨놓는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다. 물론 현실에선 불가능한 이야기다. 이 때문에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는 설정이 있는 슈퍼히어로의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1)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눈 초 가의 몸길이는 140cm 정도로 생후 30~35일 정도에 죽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40cm 정도면 가정용 대형냉장고에도 거뜬히 들어갈 크기입니다. 냉장고에 코끼리 넣기, 생각보다 쉽겠는걸요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소재로 꼽힙니다. 이제 0차원 세계로의 여정은 모두 끝이 났습니다. 앞으로 TV를 보면 0차원 입자를 생각하게 되겠죠. 자 이제 다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갑시다. 우리가 사는 세계로요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65만 명의 아이가 태어났어요. 지금 중학생일 2007년 생은 45만 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2020년 생은 겨우 29만 명이에요.” 2022년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는 중간이 볼록 튀어나온 호리병 모양이다. 출산율 감소의 모습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그래프이다. 통계청 기준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20 ...
-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양자가 열어준 토끼굴 속으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활용돼왔다. 그런데 양자역학이 정말로 순간이동을 가능케 할 거란 이야기가 있다. 0초 만에 양자의 정보를 멀리 떨어진 곳까지 전달하는 ‘양자전송’을 통해서다. 양자역학의 도움을 받아 세상 어디든 순식간에 갈 수 있는 토끼굴을 열 수 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특집] 양자역학적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동시에 B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B의 양자상태가 변하는 데 걸린 시간이 이론적으로 ‘0초’인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 변화를 알아차리는 과정에서 시간적 한계가 생깁니다. 김 책임연구원은 “물론 모든 물체는 원자핵, 중성자, 전자 등과 같은 기본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기본 입자는 우주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0월과 11월의 수요와 관계가 깊었지요. 전날 체감온도가 1℃ 떨어지면 11월에는 2.16씩, 10월에는 0.9씩 수요가 증가했어요. 연구팀은 이 연구를 기반으로 겨울철 의류의 출시 시기를 정해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어요. 하지만 오 교수는 의류 회사의 실제 판매 자료를 넣어 분석하지 ... ...
- [수학뉴스] 데이터 폭증! 단위 표현 4개 추가됐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0이 30개 붙은 큰 수나 소숫점 아래 30번째 자리의 작은 수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됐습니다. 11월 18일 세계 각 나라의 대표들이 모여 단위 문제를 결정하는 국제도량형총회에서 국제단위 접두어 4개를 만들기로 의결했습니다. 그 주인공은 퀘타 Q(quetta, 1030), 론나 R(ron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소프트로봇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11월 18일자에 발표했다.doi: 10.1126/sciadv.add3788 나비봇의 날개는 ‘똑딱핀’과 유사하게 움직인다. 똑딱핀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모양이 바뀐 뒤 그 상태를 유지하고, 또 일정 이상의 힘을 반대로 가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온다.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보낸 광자가 광손실 탓에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약 100km의 광섬유를 통과하면 광자 100개 중 99개는 광손실로 사라지는 수준이다. 고전 광통신에서는 광섬유 중간에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기를 설치하여 광손실을 해결하고 있는데, 양자통신에서는 기존 중계기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