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개체"(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의 소중한 보물, 갯벌의 종류와 생물들!기사 l20211120
- 적합할 것 같지요? 물고기나 갑각류에게도 잘 잡아먹힌다고 합니다. 플라나리아와 비슷하게 여러 조각으로 자르면 각각 다른 개체가 된데요. 신기하지요? 일반 지렁이와는 다르게 물기 때문에 물지 못하게 머리를 잡고 입쪽을 바늘로 뚫은뒤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쓴다고 해요. 그리고 말뚝망둥어도 있어요. [ 출처: https://blog.nav ...
- [다이노 월드-14] 공룡의 역사를 바꾼 티라노사우루스, 수(sue)기사 l20211117
- 박시후 기자입니다. 오늘은 공룡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 티라노사우루스의 개체, '수' 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www.fieldmuseum.org/blog/sue-t-rex 1. 가장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 '수' 는 현재까지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의 화석 중 가장 유명하고 완전한 골격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기사 l20211117
- 접근을 하셨는데, 마지막에 현재의 멸종위기종 시스템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하시며, 단순히 한 종 뿐만 아니라 일정 지역의 한 개체군만을 멸종위기종으로 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신 부분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마지막은 나비효과팀의 기후변화지표종 나비 종을 주제로 한 시민 참여형 모니터링 발표였는데요, 저는 시민과학풀씨 나비 연구에 참여 ...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존했을까?기사 l20211116
- 새끼를 주머니에서 키우기 때문에 단공류보다 호주 대륙에서 더 잘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단공류는 수중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시 개체 수를 늘려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유대류는 물에 들어가면 새끼가 물에 빠지기 때문에 물 속 생활은 엄두도 못내지만, 알로 번식하는 오리너구리에게는 어렵지 않은 일이였습니다. 이 기사로 오리너구리에 대해 많은 사실을 ...
- 충우곤충박물관에 가다!!기사 l20211113
- 표본입니다. 이 표본은 약 2000만원으로 거래됐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하늘소인 타이탄하늘소 입니다. 수컷중에는 20mm개체도 발견되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표본 옆에 있는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장 국명:메탈리퍼가위사슴벌레 헉명:Cyclommatus metallifer 몸길이:26-100mm 서식지:인도네시아 제가 ...
- [다이노 월드-12] 공룡의 최후기사 l20211109
- 겨울은 점점 추워지고 여름은 점점 더워지게 되었습니다. 최후의 공룡이 멸종되기 수백만 년 동안은 적어도 많은 지역에서 공룡의 개체 수와 다양성이 점점 줄어들며 결국은 모두 멸종했다는 가설입니다. 5. 전염병설 지금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 19) 와 같은 전염병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퍼지고 이런 전염병으로 인해 공룡이 멸종했다는 가설 ...
- 외래종 추정 되는 거북이를 발견했습니다!탐사기록 l20211106
- 유롱공원에서 발견하였고 개체수는 약 13마리였습니다! ...
- 사냥꾼 VS 시체청소부! 과연 티라노사우루스의 식성은?기사 l20211103
- 어미는 시체 청소부? 티라노사우루스하면 '저돌적인 사냥꾼' 이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몸 크기가 몇 m밖에 되지 않은 아성체(어린 개체) 티라노사우루스는 골격이 전체적으로 가늘고, 몸 전체가 날씬했습니다. 몸 크기에 비해 뇌 크기는 새에 가깝고 발도 날쌔서 활발한 사냥꾼으로써 공룡의 새끼나 작은 포유류를 쫓아다니며 사냥했을 것입니다. 이때는 ...
- [다이노 월드-9] 알로사우루스의 진실기사 l20211102
-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논란이 일어난 것은 이 때문이였습니다. 이 알로사우루스의 뼈들은 모두 다른 개체에서, 모두 다른 나이의 개체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는 알기 힘듭니다. 이 화석들을 모두 한 곳에 모아서 봐야 하니 저절로 근처에서 일어난 복원을 따르게 되어 공룡백과마다 9~14m 라고 추정합니다. 평균 크기는 10 ...
- 생태계 교란종, 더 이상 다른 동네의 일이 아니다! 교란종의 위험성기사 l20211031
- 갈색송어 등은 토종 물고기를 절멸시킵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대적할 크기의 가물치, 노래미, 쏘가리 등은 맛있기에 모두가 선호하며 개체수가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 생태계 교란종들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죠. [실제 대황강의 상황] [수많은 배쓰로 추정되는 물고기가 수 백 마리 있으며 몇 마리는 산란을 하려는 듯하다. 크기는 보통 4짜~5짜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