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이드"(으)로 총 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CT 활용 과학치안 연구과제 확대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12.21
- 등을 거쳐 데이터를 제공하는 식이다. 경찰청과 IITP는 전담부서를 지정해 데이터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하고 ETRI는 비식별화 기술을 지원한다.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의 개방 데이터도 기존 10종에서 12종으로 확대한다 . 경찰 수사인력의 ICT 및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와 과학치안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2021.12.16
- 흔히 3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로 알려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에 꼭 필요한 가이드RNA, 즉 sgRNA(하위 유전체RNA)다. 유전자가위를 사용하는 유전체 편집 기술의 핵심 중 하나는 원하는 유전체 부위를 인식하기 위해 sgRNA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희귀 유전성 질환을 mRNA나 RNAi 기술로 치료하기 ... ...
- 유전자 편집 기술로 실험동물 암수 결정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12.13
- 이로 인해 암컷 생쥐만 태어나게 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반대로 가이드 RNA를 생쥐 정자의 X 염색체에 집어넣으면 수컷만 태어나게 된다"며 "유전자 편집기술이 작동한 배아는 16~32개 세포 이상 발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100% 성별을 결정하는 데 ... ...
- 인류 건강과 지구 환경 지킬 궁극의 밥상 '인류세 식단'동아사이언스 l2021.12.10
- 위원회가 약 3년 전 제시한 해결책인 인류세 식단은 전 인류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식단 가이드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인류세란 새로운 지질시대 개념으로 인간 활동으로 지구환경에 큰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를 분리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이다.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2021.12.08
- ‘오미크론’ 변이가 곧바로 유입되고 말았다. ‘후퇴 불가’라는 대통령의 공개적인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2단계 시행을 유보시킬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방역패스’에 대한 거부감도 증폭되고 있다. 백신 접종률의 착시 ... ...
- 킬리만자로에서 찍은 평생 후회 사진 팝뉴스 l2021.11.16
- 떨어졌다. 배터리가 다 떨어지기 전에 아이폰으로 촬영해달라고 부탁을 했ㄴ느데, 가이드가 촬영한 정상 사진은 저런 모양이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 "방역 정책 결정에 활용되는 데이터 공개는 많을수록 좋아"동아사이언스 l2021.11.14
- 공유했으면 좋겠느냐는 질문에 손 팀장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며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지키는 한해서 모든 데이터를 공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 방역당국에서 공개하고 있는 코로나19 관련 자료 웹페이지를 소개했다. 지역별로 코로나19 확진자 수, 중환자 수 등 고를 수 있는 ... ...
- 접종률 제자리·접종효과 사라지는데…유럽 코로나 확산세 '심상찮네'동아사이언스 l2021.11.07
- %, 중동은 43%, 아프리카는 8.7%로 집계된다. 백신 접종률이 올라가지 않은 상황에서 백신을 가이드대로 모두 맞은 완전 접종자들도 효과가 떨어지는 시기가 도래하면서 유럽의 확산세가 다른 지역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 ...
- [과학 게시판] ‘2021 세종과학기술인대회’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9인 업적 기려 外동아사이언스 l2021.11.04
- 개정을 추진했다.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 등 성과 활용의 촉진을 위해 기존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성과활용 기여자 보상금의 지급 대상자 범위를 기술이전 전담조직까지 확대해 성과활용에 대한 의욕을 고취한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 성장모델을 논하기 위한 ... ...
- 선인경 STEPI 부연구위원, OECD 글로벌과학기술포럼 부의장 선출동아사이언스 l2021.11.01
- 과학 연구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이슈를 찾고 OECD 회원국 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정책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OECD GSF 부의장은 영국, 미국, 노르웨이, 일본, 네덜란드 등 5인 의장단과 함께 GSF 활동을 사전 심의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 전문가로는 오선근 건국대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