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뉴스
"
고안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분류학자가 팽나무에 보낸 연애편지
과학동아
l
2022.09.11
허태임 제공 짝사랑이 깊어졌다, 연구할수록 “내과피는 식물이 씨앗을 지키기 위해
고안
해낸 거예요. 복숭아 씨앗을 떠올리면 쉬운데, 보통은 나무껍질처럼 단단하게 목질화돼있죠. 그런데 팽나무의 경우 내과피가 아라고나이트라고 하는 광물로 돼 있어요. 신생대 4기에 출현한 이 나무는 대체 ... ...
몸길이 6㎝에 태양전지까지 단 '사이보그 바퀴벌레'
연합뉴스
l
2022.09.06
않았다고 한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를 이용해 마다가스카르 바퀴벌레의 체형에 꼭 맞게
고안
된 고무 중합체 배낭을 만들어 무선 다리통제 모듈과 리튬 폴리머 전지를 흉곽의 등 부위에 부착했다. 이 배낭은 한 달 이상 전자장치를 안정적으로 메고 다닐 수 있다고 한다. 태양전지 모듈은 0.004㎜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기 반도체의 전하이동도를 높일 새로운 구조체를
고안
한 끝에 두 종류의 화학물질인 헥사아미노벤젠(HAB)과 다이하이드록시벤조퀴논(DHBQ)을 반응시켜 HP-FAN 구조체를 얻었다. 이를 통해 2차원 고분자를 유기 반도체 재료로 사용했을 때의 고질적 문제인 '낮은 ... ...
접착제에 초음파 가했더니 젖은 피부에도 강하게 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5
발생했다. 하이드로겔 접착제와 조직 사이에 강한 접착력이 생긴 것이다. 연구팀이
고안
한 방식으로 접착제와 피부 사이 접착력은 10~100배 증가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접착이 필요한 일정 부위만 특이적으로 접착력을 높이는 등 점착성을 제어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오우티 서포넨 스위스 ETH ... ...
태어날 때부터 물집 생기는 유전성 피부질환 유전자가위로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환자의 세포에서 변이 유전자를 교정한 뒤, 이를 다시 환자에게 넣어주는 치료법을
고안
했다. 이를 통해 7형 콜라겐의 문제가 되는 변이 중 가장 흔한 2가지 변이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동물 피부에 교정된 변이 유전자를 이식한 결과 고정원 섬유도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현재까지 규명된 가장 작은 반도체클러스터를 단일 사이즈로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
했다. 이를 위해 기존 반도체 나노클러스터를 둘러싼 리간드에 주목했다. 리간드는 중심 금속 원자에 결합해 화합물을 형성하는 이온 또는 분자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기존 반도체 클러스터의 중심 금속 ... ...
24일 발사 창정5B호 잔해물 추락 ‘우려’…中 로켓 또 민폐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우주 전문가들은 중국 우주정거장 건설을 위해
고안
된 로켓 창정5B가 두차례의 이전 발사에서 로켓의 파편이 지구에 떨어졌다는 사실을 내세워 이번 발사 후 1주일 동안 로켓 파편 추적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에 발사된 창정5B호는 중국 ... ...
사장교 케이블 결함 살피는 전자기장 청진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눈으로 점검하는데 한계가 많았다. 사장교 케이블 손상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고안
된 전자기센서와 견인로봇.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청진기로 몸 속 상태를 알아내듯이 전자기장을 이용해 보호재 속에 들어 있는 케이블을 꺼내지 않아도 부식과 손상 여부를 정확히 알아내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피부 활용 기하학적 고신축성 기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아일랜드를 통해 여러 가지 변형에 견딜 수 있으며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고신축성,
고안
정성 기판을 제작했다. 스마트폰 화면을 늘리거나 크기를 줄이는 신축성 있는 전자장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창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간 세포 속에서 ... ...
[인터뷰]“참여자도, 대조 백신도 구하기 어려웠던 국산 코로나 백신 임상, 험난했죠”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
하는 작업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자들이
고안
한 면역원성 비교임상방식은 올해 3월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에 반영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정 교수는 “스카이코비원을 개발하며 과정을 거치며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는 우리나라 백신개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