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가
전문가
선각자
명수
태두
대지도자
지도적인 인물
뉴스
"
권위자
"(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요이슈]유전자 조작-DDT 살포? 더 무서운 모기 낳을 수도
동아일보
l
2016.02.20
“현재 모기를 정복하는 방법은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죠.” 국내 모기 연구의 최고
권위자
인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의 말이다. “유전자변형 모기는 자연 모기의 어마어마한 번식력을 따라잡기 힘들어 실효성 자체가 의문이에요. 현재도 숲 등 제한된 지역에서만 적용되고 있지요. ... ...
[1993년]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2016.02.12
성공할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해서 중력파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
인 손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오스트라이커(J. Ostriker) 교수 사이의 재미있는 일화 한 가지를 소개한다. 손교수와 오스트라이커교수는 1981년에 2000년까지 중력파를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해 포도주 한 ... ...
[책의 향기]트라우마, 과거에 갇힌 사람들
동아일보
l
2016.01.23
의미한다. 보스턴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교수인 저자(73)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연구의
권위자
로, 트라우마가 인간을 얼마나 잔인하게 삼켜버리는지 30여 년간의 진료 경험을 통해 낱낱이 보여준다. 그가 트라우마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보스턴 보훈병원에서 근무하던 중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톰을 ... ...
[춤추는 과학자들] 1971년 대박친 리보솜 춤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6.01.05
조합기술을 최초로 개발한 공로로 198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유전공학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
다). 버그 교수는 2010년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들이 나를 놀리고 있거나 아니면 미쳤다고 생각했다. 돈도 돈이었지만 그땐 대학 분위기가 지금과는 완전히 달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 ...
‘뇌의 10%만 쓴다’ 아인슈타인이 한 말 아냐
2015.11.15
감각에 추가감각이 덧붙여지는 현상이 공감각에 해당한다. 공감각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인 저자는 대부분의 사람이 시각적 착각, 즉 착시를 겪는 시각 외에 다른 여러 감각들이 공모해 착각을 일으키는 ‘다중감각’이 공감각의 원동력이라고 설명한다. 비정상적 증상이나 초능력이 아니라 뇌의 ... ...
스테펀 올슨 IBS 명예연구위원, 2016 파노프스키상 수상
2015.10.16
받았다고 IBS가 15일 밝혔다. 미국 국적인 올슨 연구위원은 실험입자물리학의 세계적
권위자
로 지난해부터 IBS에 합류해 암흑물질에 대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IBS 관계자는 “미국물리학회(APS)가 물질과 반물질에 대한 이론을 입증한 벨 실험(Belle Experiment)을 성공적으로 이끈 공로를 인정해 ... ...
“실패 거듭해도 포기는 없다”… 노벨의학상 수상 中-日 교수 ‘한우물 열정’
동아일보
l
2015.10.07
현지 언론을 통해 밝혔다. 그는 수차례 원사(院士·중국에서 과학 이공 계통 최고
권위자
에게 주는 호칭) 선정에서 낙선했고 박사 학위도 없으며 외국 유학 경험도 없다. 두 사람의 겸손한 언행도 화제다. 투 교수는 6일 중국중앙(CC)TV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수상은 “개인의 명예가 아니라 중국 ... ...
[책의 향기]DNA는 안다, 인류 진화의 비밀
동아일보
l
2015.10.03
이집트 고대사에 매료됐던 어린이가 우여곡절을 거쳐 네안데르탈인 게놈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담았다. 1955년 스웨덴에서 태어난 저자는 웁살라대에서 분자생물학을 공부하면서도 이집트에 대한 관심을 놓지 못한다. 급기야 지도교수 몰래 이집트 미라에서 DNA를 추출하고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크리스티나 스몰케 교수팀이었다. 알고 보니 스몰케 교수 역시 합성생물학 분야의
권위자
로 모르핀 연구에서도 앞서 있었다. 학술지 ‘사이언스’의 온라인에 미리 소개된 논문을 다운받아 읽어본 필자는 그 스타일에 또 한 번 놀랐다. 보통 논문은 실험결과를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내용만 ... ...
국내 첫 기초의학 연구단 ‘혈관연구단’ 출범
2015.07.01
단백질의 존재와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 주목을 받은 혈관생물학(Vascular Biology) 분야의
권위자
로 꼽힌다. 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블러드(Blood)’ 편집위원이며 최근에는 암 연구분야 국제저널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의 암혈관 분야 편집위원도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암세포와 혈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