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
난자
뉴스
"
난세포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드라마 ‘미생’이 하도 화제이기에 바둑을 좋아하는 필자는 도대체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한 번 봤다. 참고로 미생(未生)은 바둑용어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바둑규칙을 모르는 사람이 “아 그런 말이구나!”하고 개념을 이해하게 만들 수 없을 것 같아 설명은 포기한다. 그런데 드라마 한 회분을 ... ...
머리 쓰다듬으면 사랑 싹트는 ‘터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4.05.23
‘마시멜로 실험’이라는 오래된 심리학 실험이 있다. 교사의 말에 따라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린 4세 아이들이 교사의 말을 듣지 않고 마시멜로를 바로 먹어버린 아이들보다 15년 뒤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SAT)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뒀다는 내용이다. 이는 자기 통제력이 학습에 중요한 역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미국의 저널리스트 플로렌스 윌리엄스가 2012년 출간한 ‘Breasts’. 2012년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과 1952년 미국 휴스턴에서 실시된 첫 번째 유방확대수술 50주년이 되는 해다. 사진은 2013년 나온 페이퍼백. - 강석기 제공 샤워장이나 봄철 대학캠퍼스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여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걸러지지 않은 대량의 정보는 지각을 무뎌지게 한다. 이는 몇몇 정신 장애의 원인이 된다. - 한병철 필자는 최근 독일 베를린예술대학 한병철 교수의 ‘투명사회’를 재미있게 읽었다. 2년 전 우연히 ‘피로사회’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았기에, 신간(한국어판)이 나왔다는 걸 알고 얼른 사서 본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3.13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봤어요?”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 받은 거?” “예” “아니.” “시간되면 꼭 보세요.” “글쎄…” 미녀가 나오는 아름다운 영화(탕웨이의 ‘만추’ 같은)가 아니면 극장엔 좀처럼 가지 않는 필자의 취향을 모르는지(내 돈 내고 에이즈 같은 무거운 주제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매번 올림픽이 시작할 때마다 필자는 ‘시간도 안 맞는데 나중에 뉴스로 보면 되지’라고 생각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번번이 TV 앞에서 생중계를 보게 된다. 지난주도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경기를 아쉬운 마음으로 본 뒤, 다음날 이상화 선수가 출전하는 여자 500m가 시작할 때 또 TV 앞에 앉았 ... ...
황우석의 악몽, 日에서 재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논문에서 같아 보이는 태반 이미지가 중복돼 다르게 제시돼 논란이 불거졌다. - 네이처 제공 최신 줄기세포 연구 결과가 조작됐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연구는 지난달 30일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일본 이화학연구 ... ...
日 30세 女과학자 오보카타 ‘제3의 만능세포’ 개발
동아일보
l
2014.02.04
[동아일보] “여자는 이공계 안된다는 편견 깼다”… 日 환호 올해 30세의 일본 여성 과학자가 ‘제3의 만능세포’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일본 과학계에 여성 파워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주인공은 일본 고베(神戶) 소재 이화학연구소 발생·재생과학 종합연구센터 오보카타 하루코(小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광학 현미경의 한계를 뛰어넘어 바이러스나 단백질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김동현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와 최종률 박사팀은 빛이 자신보다 작은 구멍을 지날 때 발생하는 ‘나노횃불’로 단백질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 ...
나도 비트코인 지갑 하나 가져 볼까?
수학동아
l
2013.12.27
도토리 이후 모처럼 구미를 당기는 가상화폐가 등장했다. 그런데 이 화폐는 수학 문제를 풀면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와 거래 기록, 발행량 조절이 모두 수학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심지어 처음 이 가상화폐를 만든 사람이 수학자일 거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바로 역사상 가장 수학적인 화 ... ...
이전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