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뉴스
"
넓은
"(으)로 총 1,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애물과 부딪쳐 손상 입어도 계속 비행하는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위해 사용하는 센서는 360도 회전이 불가능해 시야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넓은
공간을 비행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동굴처럼 좁고 장애물이 많은 공간에서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용 라이다(LiDAR) 센서는 단일 모터를 이용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기존 음파를 발사해 물체를 ... ...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주요 수종을
넓은
면적에 집약적으로 심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은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등이 있는데 이들은 종자를 대량 생산해야 하므로 집약적인 임목개량 연구 대상이 된다. 주요 조림수종에 대해서는 자연 ... ...
세계 최고 안정도 6G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기계공학과 연구원. KAIST 제공 6세대(6G) 통신 기기 간 주파수 표준으로 이용될 수 있는
넓은
대역의 테라헤르츠파(THz) 응용 기술이 개발됐다. 차세대 6G 무선통신, 양자 분광 기술, 군용 레이더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승우 기계공학과 교수, 김영진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데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산은 이미 대부분 조림되어 있으며,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넓은
평지는 부족하다. 논밭을 개간해서 나무를 심을 게 아니라면 새로운 땅은 훼손지이거나 간척지와 같이 식물이 자라기 척박한 곳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기후변화에 따라 나무심기가 가능한 땅들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중에 뿌려진 씨앗을 땅 속에 정확히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8
농업계에서 차세대 파종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람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단시간에
넓은
지역에 씨를 퍼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공중파종은 산림 재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행체를 사용하면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산지에도 손쉽게 나무를 심을 수 있다. 앞으로는 화재로 ... ...
집밖에서도 실시간 위장운동 관측…진화하는 캡슐 내시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있어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3D 영상 전송이 가능하다. 또 기존 캡슐 내시경보다 3배 이상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해상도도 높다. 연구팀은 대형 동물실험을 통해 스마트 알약이 위장에서 결장으로 이동한 뒤 배설되는 과정을 추적한 결과 이전에 개발됐던 자기장 기반 캡슐 내시경보다 뛰어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약 6억5000만 헥타르 가운데 우리나라는 약 800만 헥타르로 육지 면적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넓은
편이다. 네이처 지속가능성 제공 먼저 이들 해조류를 양식할 수 있는 조건(수심 200m 미만 등)을 갖춘 바다의 면적은 6억5000만 헥타르로 전체 바다 면적의 1.8%에 이른다.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우리나라 ... ...
버려지는 바닷물에서 고순도 리튬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연결해 모듈화하고 이를 적층해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적층 방식은 거대한 설비나
넓은
부지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 물을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의 위험도 없다. 연구팀은 증산발전 소자에 전기투석 장치를 연결해 고수율의 담수와 리튬을 얻는 '순환형 에너지 ... ...
'농게 눈' 본딴 수륙양용 카메라 개발 송영민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지난해 7월 게재됐다. 송영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하나의 소형 카메라로 360도 수준의
넓은
화각을 구현한 최초의 사례”라며 “특히 농게의 눈 구조에 착안해 수륙양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개발한 점에서 생체모방 기술을 한 차원 진보시킨 연구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관측할 '라이트버드'를 2027년 발사한다.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허블보다 300배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신톈’을 2024년 발사한다. 한국은 NASA와 함께 우주 전체를 찍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어X’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