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바깥면
표면
외면
겉
바깥
뉴스
"
바깥쪽
"(으)로 총 2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회전하는 블랙홀(커 블랙홀)에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서는 ‘에르고 스피어’
바깥쪽
특정 궤도에 있는 물체가 2개로 분리되고 둘 중 하나가 빨려 들어간다면,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비슷한 이유로 반대 물체는 블랙홀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정통SF의 공식을 충실하게 재현한 쿠퍼의 선택은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기술로 인정받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들 부품을 하나로 합쳐 작게 만든 뒤 안구
바깥쪽
바로 옆에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정흠 교수는 “토끼에게 인공 눈을 이식한 뒤 뇌파를 측정해 빛의 반응 여부를 확인했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좋았다”면서 “조만간 임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껍질 으깨지며 과립 젤이 균일한 졸이 돼 그렇다면 왜 바나나 껍질 안쪽 면이 아니라
바깥쪽
면을 밟을 때 더 미끄러운 걸까. 바나나 껍질의 입장에서 면이 어긋나는 지점, 즉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곳이 안쪽 면이기 때문이다. 즉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안쪽 면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면서 ... ...
도시 개구리의 짝짓기 노하우
과학동아
l
2014.06.08
들어가 울음소리를 내는 청개구리는 m2당 평균 1.64마리 꼴로 나타났다. 반면 배수로
바깥쪽
에서 구애 활동을 펼친 청개구리는 0.02마리에 불과했다. 배수로 내부를 선호하는 개구리 숫자가 그렇지 않은 쪽보다 82배 더 많았던 것.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청개구리가 울음소리를 더 크게 만들어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깜빡이지도 않으므로 독서보다도 눈에 훨씬 더 안 좋다. 결국 두 달 전쯤 오른쪽 눈
바깥쪽
흰자위의 실핏줄이 터져 토끼눈이 되고서야 깜짝 놀라 정신을 차리고 식후 먼 산을 보며 산책하는 쪽으로 습관을 바꾸기로 했다. 그런데 한 보름 지나 흰자위의 붉은 기도 가시고 눈도 덜 피로한 것 같아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빛이 줄어든 정도를 자연로그로 나타내 -1을 곱한 값. 1/e로 감광될 경우 1이다)가 0.4이고,
바깥쪽
고리는 반지름 405km, 폭 3km 광학깊이 0.06이다. 두 고리 사이의 공간은 불과 9km. 만일 지구에서 같은 거리에 고리가 있다면 지상에서 불과 250여 km 떨어진 것이기 때문에 해질 무렵이나 해뜰 무렵 장관을 ... ...
‘시린 이’ 2주 지나 치과 갔다가 ‘공사’ 키웠다
동아일보
l
2014.03.10
넷째 주 셋째 주는 크라운을 씌우기 위해 준비를 하는 날이다. 이를 위해 이제는 치아
바깥쪽
을 깎아내는 큰 공사를 다시 했다. 치아 사이에 크라운을 덮어씌울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다. 이날은 이미 신경치료가 끝난 뒤여서 마취주사가 필요 없다. 1시간 정도 걸리는 작업이다. 셋째 주도 치아 공사를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
동아일보
l
2014.02.24
[동아일보] [기자 체험 클리닉]CT-MRI 비교체험 《 “CT나 MRI 한번 찍어봐야 되는 거 아냐?” 요즘 들어 머리가 지끈지끈 쑤신다는 기자의 말에 친구가 무심코 한마디 내뱉었다. “그러게….” 힘없이 대답하던 기자는 이참에 검사를 한번 받아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런데 컴퓨터단층촬영(CT)과 자 ... ...
‘나’도 모르는 내 마음, ‘뇌’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호아킨 M. 푸스테르 著, 휴먼사이언스 刊) 마음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최근 마음이 뇌의 작용이라는 사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마음과 뇌가 어떻게 대응되는가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인지신경과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 50년이 넘는 ... ...
토성 고리에서 달이 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2
토성에서 멀어진다는 것이다. 프랑스 연구자들은 이 효과를 시뮬레이션 했는데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떠나는 물질이 모여서 작은 위성이 되고 점차 행성에서 멀리 이동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또 고리에 남은 물질이 충분할 때는 첫 번째 위성이 형성된 곳에서 두 번째 위성이 성장할 것이고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