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뉴스
"
바닥
"(으)로 총 1,14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
과학동아
l
2021.07.31
아래에는 구리로 된 송전 코일이 들어있다. 전기차가 이 코일 위 도로를 달리면 자동차
바닥
부분에 장착된 전자기 유도 충전 시스템이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선 충전 도로 200m 구간을 40t(톤) 전기트럭이 시속 60km로 주행할 경우 평균 전송 속도 70kW로 충전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상용화된 급속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장난감처럼 보일 정도였다.
바닥
을 보자 계란후라이라는 이름의 석순이 보였다. 동굴
바닥
한 곳에 오랜 기간 계속해서 떨어진 지하수에 녹아 있던 탄산칼슘이 쌓여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백룡동굴에는 관박쥐가 살고 있다. 하지만 이날은 어디에도 그 흔적을 찾을 수가 없어 아쉬웠다. ... ...
[올림픽의 과학]진화한 운동화 기술, 도쿄올림픽 단거리 판도 바꿀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스파이크는 과거에는 가벼움을 최고의 가치로 뒀다. 밑창 두께는 5mm에 불과했고 징의
바닥
접지력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밑창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면서 탄력을 끌어올리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나이키의 최신 스파이크인 에어 줌 빅토리. 나이키 제공 나이키는 열가소성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엘리자베스 터너 제공 캐나다에서 8억 9000만년 전 해면의 화석이 발견됐다. 해면은 바다
바닥
이나 다른 동물 표면에 붙어 자라는 동물로 실제 해면이 맞다면 지금까지 발견된 동물 화석 중 가장 오래된 화석이 된다. 동물 발생의 역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며 학계가 들썩이고 ... ...
폭염·탄소중립 시대 재조명되는 수력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수력발전은 약 3분의 2를 차지한다. 하지만 규모가 큰 댐으로 생겨난 저수지는
바닥
에서 유기물질이 분해되면서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만든다. 환경보호기금(EDF)에 따르면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전세계 1500여개 수력발전소의 7%는 화석연료 발전소보다 단위 에너지당 더 많은 온실가스를 ... ...
[지구는 살아있다] 해양동물은 죽어 돌이 된다
2021.07.24
칼슘이온을 합쳐서 만든 결과입니다. 해양동물이 죽으면 살은 썩고 껍데기는 부서져
바닥
에 쌓입니다. 이렇게 쌓인 퇴적물을 탄산염 퇴적물이라 하는데, 이 퇴적물이 많이 쌓여 강하게 압축되거나 비를 오래 맞으면 ‘석회암’이라는 돌이 됩니다. 석회암은 석유를 함유하거나 시멘트의 원료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제안했다. 나노입자를 극저온과 초고진공 상태에 둬 나노입자의 양자역학적 상태를
바닥
상태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방법을 거시적 규모에서 양자역학적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처는 “두 논문 모두 양자역학적 상태를 제어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매미는 나뭇가지 위에 한 마리당 평균 약 600개의 알을 낳았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바닥
으로 내려와 곧 흙 속에 파묻혔다. 이후 땅속에서 살며 나무뿌리에서 나오는 수액을 먹으며 자랐다. 그렇게 17년을 버틴 매미들이 올해 여름 한꺼번에 땅 위로 올라와 모습을 드러냈다. 이 가운데 성충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육상화로 인한 문제점은 또 있다. 하천의 폭이 좁아지면 유속이 빨라지고 서서히 강
바닥
이 패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강이 깊어지는 만큼 지하수위가 낮아져 저수지나 정수장에 유입되는 원수가 부족해지고 그 결과 농경지 용수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다. 소각재는 가스에 섞여 공기 중에 뜨는 비산재와
바닥
으로 가라앉는
바닥
재로 나뉜다.
바닥
재는 보도블럭 등의 건축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비산재는 온도가 낮아지는 과정에서 농축된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다시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산재는 지정폐기물로 취급해 별도로 매립한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