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일세포서 분자 위치 정보 분석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이번에 개발한 단일세포 단백체 분석기술과 고해상도 세포
분리
기술을 활용해 세포 소기관의 단백체 분석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최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단일세포 기반 오믹스 기술을 거의 100% 외국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간 오믹스라는 최신 기술 ...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착용해도 재채기 소리 들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등록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등록하고자하는 목소리가 크게 들리지 않아도 AI가 제대로
분리
해 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시암골라코타 교수는 "앞으로 보청기에도 해당 시스템을적용해 보청기 착용자들이 듣고 싶은 사람의 목소리만 크게 들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
바이러스·세균 진화 규명…RNA 백신 개발 시 응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해체종결은 합성 복합체가 중합효소, DNA, RNA로 해체되는 방식이고 재생종결은 RNA만
분리
되고 중합효소는 DNA에 남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 세균을 잡아먹으며 증식하는 세균바이러스는 RNA 합성을 마무리하는 방식에 해체종결만 있고 재생종결은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 ...
공장형 축산업, 병원체 퍼지는 증폭기…팬데믹 유발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증폭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집약적 축산업을 하면 가축과 야생동물을
분리
할 수 있고 가축에서 퍼지는 감염병을 특정 공간 내에 가둘 수 있어 감염병 확산을 막는 전략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잘못된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가축이 머무는 공간에 쥐나 새처럼 ... ...
"디스토피아 암시하면, 환경보호 활동 더 안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메시지 유형을 연구팀은 의사결정 행동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크게 11개로
분리
했다. △동적 사회 규범 △동참하는 규범 △효과적인 집단 행동 △심리적 거리 △체제 정당화 △미래 자아 연속성 △부정적 감정 △다원적 무지 △미래 세대에게 보내는 편지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는 도덕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고분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고분자다. 레이저를 조사하자 전도성 고분자 내에서 물질
분리
가 일어나며 부드러운 하이드로젤로 변했다. 해상도가 높은 레이저를 통해 기판 위의 원하는 위치에서만 강한 접합을 유도할 수 있어 하이드로젤의 초미세 패터닝이 가능했다. 실험 결과 수분이 많은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수 있다. 하지만 리튬금속전지의 충·방전 중 리튬의 수지상 결정 성장이 일어나면서
분리
막을 뚫고 전지의 단락을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리튬이 도금되면서 부피 팽창이 일어나 배터리가 부풀고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등 안전성 및 내구성의 문제 또한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 ...
[잠깐과학] 1937년 7월 5일…스팸 출시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존의 도움을 받아 통조림햄 제품들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비싼 부위는 제외하고 뼈를
분리
하면서 남은 돼지 어깨 살, 지방이 많은 부위 등 잘 팔리지 않는 고기들을 갈아서 통조림으로 만들었어요. 이게 바로 스팸입니다. (왼쪽부터) 스팸 박물관에 있는 스팸의 원형,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팸을 ... ...
[동물do감] 반려돼지, 주인에 대한 '애착행동' 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애착행동을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다. 동물들을 주인과
분리
한 뒤 낯선 사람과의 만남에 노출시켰다. 만일 주인에게 애착행동을 보인다면 낯선 사람과 조우한 시점에 특정한 행동을 보일 것이라 추정했다. 분석결과 개에서는 애착행동이 포착됐지만 돼지에게선 포착되지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실험을 통해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뇌 회로와 포만감을 형성하도록 돕는 뇌 회로가
분리
돼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AP는 건드리지 않고 NTS만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다면 메스꺼움 없이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약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부작용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