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칙
불연속
단절
연락 없음
절연
이상
뉴스
"
불규칙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팀을 승리로 이끄는 응원도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6
합쳐진 공기의 진동이 귀로 전해져 우리는 호루라기의 소리를 듣게 되는 거예요. 또한
불규칙
적으로 진동하는 구슬에 의해 호루라기 고유의 떨리는 소리가 만들어진답니다. ※ 주의! 알루미늄 캔이 날카로워 다칠 수 있으니 반드시 장갑을 끼고, 어른과 함께 하세요. 왜 그럴까? 소리를 ... ...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04.11
구형에 가까워서 이런 효과를 얻기 힘들죠. 또 열에 의한 변성과 변성된 단백질이
불규칙
하게 뭉치면서 전반적으로 단백질이 균일한 구조를 갖지 못합니다. 삶은 계란의 흰자가 쉽게 으깨지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계란 단백질이 일정한 간격으로 질서정연하게 ... ...
드론의 진화...군집 비행 다음은 ‘군집 장애물’ 회피
동아사이언스
l
2018.02.13
이라는 이 기술은 시속 32㎞의 속도로 하늘을 주행하는 동안 지도에 등장하지 않는
불규칙
한 장애물을 피하며 운전할 수 있다. 장애물 자동 회피 기능은 도심 배송 등의 서비스나 자율운항을 실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오랜 염원이었다. 하지만 개발하기 힘들었다. 무거운 위치추적 장비나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주장하는 프랜시스 웨스톨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대개 미화석은
불규칙
한 무늬를 보이는데 도드 화석의 무늬는 규칙적이다”라며 “생명체 탄생이 35억 년 이전이라고는 생각되지만 그 흔적이 남아 있을 가능성은 아주 작다”고 말했다. 한편, 생명체가 35억 년 전에 있었음이 ... ...
경주, 포항 다음은 경주-포항 사이 지역 지진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교수는 “포항 지진은 인위적으로 유체를 넣었을 때 발생하는 지진처럼 다소
불규칙
한 움직임을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단층면이 반듯하지 않고 굴곡이 많을 때도 포항 지진과 유사한 지진이 발생하는 만큼 이 지역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있어야 확실하게 원인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존 홀드렌 前 백악관 과기보좌관 “과학기술 믿고 탄소감축 미루면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마구 일으킨다”며 “기후변화를 대변하는 말은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날씨의 패턴이
불규칙
하게 바뀌는 ‘기후 혼란(Climate Disruption)’에 가깝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구온난화로 날씨가 따뜻해지면 일부 지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큰 착각”이라며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유령과 만날 수 있게 하는 자기장 유령이나 귀신이 자주 출몰한다고 알려져 있는 곳에는
불규칙
한 자기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영국에서 유령 궁전으로 유명한 햄튼 코트도 그 중 한 곳인데요. 이러한 자기장을 이용해 두뇌에 자극을 가해 초자연적인 경험을 하도록 한 연구가 있습니다. 캐나다의 ... ...
[인터뷰] ‘데이터야놀자’를 준비하는 사람들 “좀 놀자구요”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10.12
받았어요. 매일 클릭되는 게 비슷하거든요. 아프리카에서 얼룩말이나 물소 한마리는
불규칙
적으로 움직이지만 하늘에서 보면 전체가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있다더니 사람도 그렇더라구요. 그래서 관심을 갖게 됐어요. 김태준(발장) : 저는 원래 기타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때 클래식 ... ...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10.06
박사는 ‘네이처’에 “실내조명이 도파민의 주기를 망가뜨려 안구의 성장을
불규칙
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 잘 때 끼는 렌즈 효과 있나? 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근시(특히 고도 근시)는 비가역적이고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어릴 때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최선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glass)화된 상태를 갖게 된다는 것이었다. 유리화는 고체 결정이 생성될 때 나타나는데,
불규칙
한 분자 구조를 갖는 유체다. 뒤보쉐는 유리화된 물을 얻을 수 있다면, 전자빔이 회절될 때 방해받지 않아 제대로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처음에 연구팀은 영하 196도의 액체질소에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