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뉴스
"
식별
"(으)로 총 72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 떠돌이개 유전특성 규명..."방사선 포유류 노출 영향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5
라며 "DNA를 통해 방사선 노출 수준이 높은 지역, 낮은 지역, 중간 지역에 사는 개를 쉽게
식별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발전소 개와 체르노빌시 개는 조상이 달랐지만 둘 다 독일 셰퍼드와 다른 동유럽 셰퍼드 품종과 DNA를 공유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향후 발전소 개와 체르노빌시 개를 방사능이 ... ...
[씨즈더퓨쳐] MZ세대 SNS 앱 '본디' 반짝 흥행 이유는
2023.03.05
해킹을 당했다는 경험담이 나오면서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본디가 IMEI(단말기고유
식별
번호 /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수집하는 것도 수상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IMEI는 휴대전화 제조사가 전 세계 휴대전화를 구별하기 위해 부여하는 15자리의 고유 번호로, 휴대전화 기기의 ... ...
더 정확하게 유방암 탐지하는 ‘AI 초음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구별하기 위해 컴퓨터 보조 진단(CAD) 시스템은 병변의 특징을 자동으로 세분화하고
식별
해 방사선 전문의에게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B 모드와 변형 탄성 그래피(SE) 이미지를 활용해 병변을 분할한 다음 악성에서 양성을 분류하는 딥러닝(DL) 기법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먼저 병변의 분할을 ... ...
한강에 수달 15마리 확인...유전자 분석결과 엄마·아빠·새끼 두 가족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마커를 활용해 생물들의 개체
식별
이나 친자감별 등을 수행한다. 마크로젠은
식별
한 수달 15마리 개체 사이에서 엄마, 아빠, 새끼의 세 마리로 구성되는 두 가족(6마리)의 근연관계도 확인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는 한강 유역에 사는 수달의 건강한 서식과 종 복원에 유용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 ...
모터 등 회전기기 결함 탐지하는 AI…"스마트팩토리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측정되는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신호 간 유사도를 계산해 서로 다른 방식의 결함을
식별
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작동 조건이 비슷한 경우 회전기기의 결함 유무나 결함 종류를 99% 이상의 정확도로 맞췄다. 회전속도가 50%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80% 이상 정확하게 결함을 ... ...
중국, 미국 이어 소행성 지구방어실험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소행성이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험이
식별
된 소행성에는 우주선을 보낸다. 우주선을 보내 가까운 위치에서 소행성을 관찰한 뒤 지구에 위협이 되는 소행성이라 최종 판단이 되면 표면에 충돌시켜 궤도를 변경한다. 우얀화 국가항천국 부국장은 지난해 ... ...
"양자컴퓨터, 10년 뒤 애플 주가 정확히 예측해 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것이 그의 이야기다. 김 교수는 “각기 모양이 다른 철쭉이나 손글씨로 쓴 숫자들을
식별
하는 실험에서 양자적 방법으로 구현된 컴퓨터는 고전적인 슈퍼컴퓨터보다 500~1000배 높은 효율로 데이터를 학습했다”며 “많은 기업들이 양자를 활용한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법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 ...
개인마다 다른 손가락 지문 패턴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복잡한 패턴으로 이뤄져 개인을
식별
하는 데 쓰이는 지문은 사람마다 다르다. 출생 전에 손가락 피부에 만들어지는 지문은 포유류 중에서도 인간과 코알라, 침팬지 등에서만 발견된다. 고유한 패턴을 만드는 생화학적 메커니즘은 그동안 수수께끼였다. 데니스 헤든 영국 ... ...
코로나로 뜬 원격진료...피부질환 분야 '눈부신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이미지의 복잡한 픽셀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세밀하게 추출 및 분석해 이미지를
식별
하는 데 사용된다. 국내에서도 텔레더마톨로지 기술은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다. 지난해 한주희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교수 연구팀은 흑색종 확대경 이미지를 학습한 AI가 흑색종 진단을 위해 피부 조직을 ... ...
뇌졸중도 감시하는 스마트폰 앱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라도슬라프 라이체프 교수는 “FAST.AI는 신경과 전문의만큼 정확하게 급성 뇌졸중 증상을
식별
했다”며 “많은 뇌졸중 환자가 혈전 용해 치료를 투여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 내에 병원에 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뇌졸중의 징후와 증상을 조기에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선 2017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