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뉴스
"
작고
"(으)로 총 7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창의재단 "사업단 해체 보직자 줄이고 수당 깎는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조직은 기존의 4단 체제를 해체하고 1부 9팀 1연수원 체제로
작고
수평적으로 바뀐다. 보직자 규모를 절반으로 줄이고 간부진의 직책수당도 줄였다. 중대비위가 발생할 경우 한 번에 바로 엄중처벌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윤리경영을 확립할 방안도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형태나 배열은 종마다 크게 다르다. 보통 검은색을 띠는 심해어는 멜라노솜이
작고
동그란 형태이고 멜라노솜 사이사이에 틈이 존재하는 반면, 울트라블랙을 띠는 심해어는 크고 길쭉한 멜라노솜이 매우 빽빽하게 들어차 있었다. 연구팀은 심해어가 포식자의 눈을 피하고, 먹이 사냥 중에 더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처음이 아니다. 라이고와 버고 협력단은 6월 말에도 태양 질량의 2.6배로, 블랙홀이라기엔
작고
중성자별이라기엔 큰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했다. 이 천체가 블랙홀인지 중성자별인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 ...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한 기기의 '떨림',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에너지 기기다. 배터리나 전원 없이 주변 에너지만으로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IoT처럼
작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나 열차, 산업현장의 기계 등이 발생해 버려지는 진동을 흡수해 전기로 활용하는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이 경우 작은 진동으로 큰 ... ...
빌 게이츠도 주목한 혁신 의료기기 기업, 한국인 연구자가 주축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공학자들이 주축으로 설립한 의료기술 스타트업 '사이벨'이 국내 시장 개척에 나선다.
작고
부드러운 무선 센서로 신생아부터 코로나19 환자까지 건강 상태를 획기적으로 저렴한 비용만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내세웠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의 한국인 공학자와 미국인 지도교수, 의사가 주도해 ... ...
45년 전통 엔진 회사 대표가 65년 역사의 청계천 주물공장을 찾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8.22
연구원은 6월 18일 개최한 세운 글로벌 포럼 '로컬-리콜' 오프닝 행사에서 “기업들이
작고
일부 공정에 특화돼 있다 보니 서로 제조 네트워크를 이루고 협업하는 게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특히 세운 일대 다른 기업과의 협업이 두드러졌다. 제조업은 31%, 인쇄업은 41%가 세운 일대 ... ...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생명과학부 교수와 우태성 연구원팀이 전자현미경과 일반 광학현미경의 장점을 결합해
작고
복잡한 이미지를 또렷이 확대하는 ‘공간분해능’과 움직이는 물체를 순간적으로 관찰하는 ‘시간분해능’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광학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현미경은 크게 두 가지 ... ...
동해 불법 조업 주범 中 '암흑선단' 국제-위성-AI 공조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인근 러시아 해안까지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이 타고 있는 소형 목선은
작고
열악해 이처럼 먼 바다로 나가는데 적합하지 않고 위험하다”고 말했다. 북한의 영세한 오징어잡이배가 러시아 배타적경제수역까지 진출해 오징어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길이가 20m가 채 안 되고 오징어를 ... ...
선유도 흰발농게 4만마리 새 보금자리로 이사간다는데 성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다른 한쪽에 비해 눈에 띄게 커서 ‘주먹대장’으로도 불린다. 암컷의 집게다리는 둘 다
작고
크기가 비슷하다. 국내에서 흰발농게는 2012년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됐다. 갯벌 매립 등 해안가 개발로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줄었다. 이번 흰발농게의 대규모 이주 작전도 ... ...
코로나19 감시부터 몸속 의료장비 전력공급까지..."붙이면 끝" 패치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과 함께 피부에 붙여 염증과 여드름을 치료하는
작고
투명한 온열 패치도 개발해 최근 공개했다. 이종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마이크로LED를 이용해 체내 태양전지 삽입 헬스케어 기기에 빛을 쪼여 전력을 공급하는 패치를 개발했다. 다양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