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프린키피아'를 들고 있는 뉴턴이 새겨진 1파운드 영국 지폐. 뉴턴은 1699년에는 조폐국장에 임명돼 생을 마감할 때까지 약 30년간 일했다.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은 생각해 보면 참 신기한 힘이다. 무려 1억5000만km나 떨어져 있는 지구와 태양이 텅 빈 우주공간을 가로질러 서로의 존재를 느끼며 서로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에는 케플러가 관측한 날보다 4일 빨리 조선의
천문학자
들이 케플러 초신성을 관측한 기록이 있다. 1074년 ‘고려사’에는 서양에서 관측하지 못한 초신성 기록도 남아있다. 태양계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은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과정을 이해하는 통찰력을 제공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메이의 논문이 발표되기 이전에
천문학자
들은 황도광을 구름이나 맑은 하늘에 의해 햇빛이 산란되는 현상인 ‘새벽 박명’으로만 판단했으나, 현재는 태양 주위에 가장 빽빽하게 모여 있는 먼지 입자들이 반사하는 태양빛으로 인해 생기는 ... ...
'허블우주망원경' 외계행성 찾아줘서 고마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성과다. 우주팽창설은 우주가 대폭발(빅뱅) 이후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천문학자
들은 1998년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거대 별이 죽음을 맞이할 때 엄청난 빛을 뿜어내는 ‘초신성’ 현상을 관찰하고 ‘우리은하’에서 먼 초신성이 더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우주가 더 ... ...
태양 옆서 우리은하 최대 별 형성 가스 구조물 발견
연합뉴스
l
2020.01.08
응용해 3D 지도를 만들었다. [ESA/ATG 미디어랩, ESO/S.브루니어 제공] 굿맨 교수는 "어떤
천문학자
도 우리가 이처럼 거대한 파도 형태의 가스 구조물 바로 옆에 살고 있다거나 이런 거대 구조물이 우리은하의 나선 팔 중 일부를 구성하고 있을 거라고 예상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3D 지도를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우주배경복사탐사 위성(WMAP)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NASA가 분석한 우주팽창론 개념도. 출처 위키피디아 우주가 점점 빨리 팽창하고 있다는 유명한 천체물리학 이론인 우주가속팽창이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속팽창을 확인한 중요한 관 ... ...
외계행성 '생체신호' 포착 새 기법 개발…생명체 탐색 탄력 기대
연합뉴스
l
2020.01.07
축적된 이런 산소가 생명체가 만든 것처럼 비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슈위터만 박사는
천문학자
들은 아직 이런 사례가 얼마나 일반적인지 확인하지 못한 상태라면서 "우선 생명체가 없는 '죽은' 행성이 대기 중에 산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와 그런 행성들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 ...
[전망2020] 암흑물질 관측 망원경 시험가동, 차세대 발사체 시험발사 목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1.01
관측해 3차원 입체 은하 지도를 만든다. LSST에는 암흑물질의 존재를 처음 제기한 여성
천문학자
베라 루빈을 기리는 ‘베라 루빈 망원경’이라는 별명이 있다. 암흑물질의 존재를 본격적으로 탐색할 망원경이기 때문이다. 암흑물질은 우주에 존재하는 강력한 중력원으로, 은하가 밀집한 지역에는 ... ...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01.01
것으로 추정되는 외계행성이 속속 밝혀졌다. 하지만 외계행성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천문학자
들의 예측에 훨씬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루이스 웰뱅크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크기와 온도가 다양한 19개 ... ...
"우리의 밤하늘이 위험하다" 새해 수 천대 위성 발사 앞두고
천문학자
들 또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위성을 천체 관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궤도인 약 1200km에 올릴 계획이다. 일부
천문학자
들은 예상과 달리 인공위성이 천체 관측에 그다지 큰 골칫거리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마틴 바스토우 영국 레스터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우주는 매우 넓고 인공위성들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