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췌
녹색
줄거리
요약
초록빛
인용
초록색
뉴스
"
초록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재발하는 이유는 '카니발리즘'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걸린 쥐 모델에게 독소루비신 화학요법 치료를 했더니 일부 암세포(
초록
색)가 다른 암세포(빨간색)를 에워싸고 잡아먹는 현상이 일어났다(①~④ 순서대로). 미국 툴레인대 연구팀은 이 암세포들이 이런 과정으로 에너지를 얻어 치료 후 살아남아 재발, 전이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크리스탈 ... ...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09.03
연구팀이 인간의 담석에 형광표지를 한 뒤 촬영한 사진. 붉은색은 DNA를,
초록
색은 호중구가 방출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호중구엘라스타제를 나타낸다. FAU 제공 독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에를랑겐 뉘른베르크대(FAU) 연구팀이 면역세포의 활동이 담석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 ...
조 후보자 딸 논문투고 시점은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고교생 논문투고 늘던 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훨씬 수가 늘어난다. 교육부는 교수 자녀에서 전체 미성년으로, 논문만에서 학회
초록
을 뜻하는 '프로시딩'의 등재 여부로 실태 조사를 확대한 결과 올해 5월 기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56개 대학 255명의 대학 교수들이 410건의 논문에 미성년자를 공저자로 등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딸 ... ...
출연연 똘똘 뭉쳐 낙동강 녹조 발생 3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14일 오후 경남 창녕군 길곡면 낙동강 창녕함안보가
초록
빛을 띠고 있다. 연합뉴스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올해도 전국 전역에 녹조가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 20일 정부출연연구소와 지자체가 낙동강 녹조를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 개발을 위해 현장에서 처음으로 기술 시연에 나섰다. ... ...
AI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국산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있다. 아눕하브 자인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팀은 AI에게 재료연구 논문
초록
330만개를 학습시킨 뒤 새로운 열전소재를 찾아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AI로 찾아낸 재료를 AI가 스스로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실험 설계와 ... ...
신라젠 "펙사벡, 신장암 등 면역항암제 병용 임상 집중"(종합)
연합뉴스
l
2019.08.04
이 결과는 내년 1월에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 위장관종양 심포지엄'(GI ASCO)에
초록
접수할 예정이다. 앞으로 진행할 임상연구도 공개했다. 유방암이 간으로 전이된 환자를 대상으로 펙사벡과 미국 머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병용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기로 했다. 현재 임상시험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유전자 가위’로 유전자를 교정한 토마토 묘목의 모습을 2일자 표지로 실었다.
초록
색의 토마토 묘목이 투명한 배양 접시 위에서 파릇파릇하게 자란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해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로, 길잡이 RNA와 DNA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단백질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011년 논문 ‘중첩중력에너지가 방사선 조사된 밀과 대두의 판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초록
에서 ‘중접에너지가 방사선 조사식품의 판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밀과 대두를 시료에 감마선을 조사한 뒤, 중첩중력에너지로 처리한 시료의 발광특성과 발아율 변화를 처리 직후와 6개월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5일
초록
색 과녁에 DNA를 닮은 화살이 정확히 정중앙에 꽂히는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최첨단 유전자 교정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를 이용해 DNA를 수정하는 모습을 묘사했다. 크리스퍼는 박테리아와 고세균과 같은 원핵생물 유기체의 게놈에서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AI는 과거에 발견한 열전소재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2008년까지 발표된 논문
초록
만을 학습시키고 AI가 제안한 상위 5개 소재를 분석했다. 5개 중 3개는 2008년 이후로 실제로 연구를 통해 발견된 열전소재였다. 나머지 2개는 너무 희귀한 재료거나 독성 요소가 포함돼 쓸 수 없는 소재였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