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뉴스
"
출발
"(으)로 총 1,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인터넷’ 정면대결 시작됐다
2022.04.08
본격적인 발사는 이르면 내년 초나 중순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사에 비해
출발
이 늦은 아마존은 위성 발사에 속도를 내기 위한 투자도 별도로 진행할 예정이다. 가장 많은 발사체 계약을 맺은 ULA와의 계약에서 아마존은 ULA의 발사장에 자사 인공위성 발사만을 위한 별도의 로켓 발사 ... ...
유전자가위 석학 김진수 전 서울대 교수, 결국 IBS 떠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맡은 지 8년만에 IBS를 떠난다”며 “고심 끝에 더 이상 IBS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새
출발
하기 위해서 떠나게 됐다”고 밝혔다. IBS 관계자는 “김진수 단장이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또 “다만 내부 규정으로는 사표를 바로 수리할 수 없게 돼 있지만 민법을 적용하면 사의 표명 ... ...
허블 우주망원경, 우주 나이 9억년때 별빛 관측…역대 가장 먼 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2
약 465억광년 떨어진 천체도 관측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어렌델에서 우리은하를 향해
출발
한 빛도 우주가 팽창하며 지구까지와 거리가 점점 멀어져 130억광년만에 지구에 도달할 수 있었다. 현재 어렌델과 지구는 280억광년까지 벌어진 상태다. 연구팀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통해 어렌델을 다시 ... ...
윤석열표 과학기술 거버넌스 방향은…"대통령은 마에스트로, 민관합동위 청와대 기능 대신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애써 무시했던 과거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대통령의 과학기술 리더십이 거버넌스의
출발
점이 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후보 캠프에서 과학기술정책분과위원장을 맡아 과학기술 공약 실무를 총괄했다. 과기 분야 관료 출신으로 2006~2007년 노무현 정부에서 ... ...
힉스입자 발견 10년 맞은 거대강입자충돌기, 암흑물질 발견 위해 3차 가동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넘어 프랑스 남동부 오베르뉴론알프 지역까지 뻗었다가 큰 원을 그리며 돌아 다시
출발
점에 도착한다. 빅뱅 발생 직후 우주는 극한의 고온·고압의 환경이었다. 특히 온도가 1경에 1경을 곱한 ‘1구’도에 이르렀다. 이 같은 환경에서 입자들은 빛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인다. 과학자들은 입자들의 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회전의 효과를 나타내는, 입자의 내재적으로 고유한 물리량이다. 스핀의 개념이 도입된
출발
점은 역시나 원자가 방출하는 빛스펙트럼이다. 20세기가 시작되기 직전인 1896년 네덜란드 레이든대 피터르 제이만 교수는 소듐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을 외부 자기장에 노출시켰을 때 원래의 스펙트럼이 ... ...
손바닥만 대고 비행기 탄다…대한항공 '바이오 셀프보딩' 서비스
연합뉴스
l
2022.02.08
만 7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이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전에 김포공항 국내선
출발
층의 바이오 인증 셀프 등록대에서 신분증을 제시한 뒤 개인정보 활용 동의를 거쳐 손바닥 정맥을 등록하면 된다. 대한항공은 도용·복제·분실 위험성이 없는 손바닥 정맥 생체 정보를 통해 효율성과 ... ...
새해 첫번째 한 일, 과감한 이별
팝뉴스
l
2022.02.02
제공 새해를 맞아서 미국의 한 남자가 새
출발
을 했다면서 인증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했다. 창밖으로 짐꾸러미가 보이고 한 여성이 두리번 거리고 있다. 무슨 상황일까? 물론 남자의 일방적 주장이기는 하지만, 여자 친구가 바람을 피운 것을 알고는 집을 다 싸서 놓았다는 설명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2022.02.02
고도의 제도가 필요하다. 현재의 기술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이 그
출발
이 될 수밖에 없다. 미완성의 미래 기술에 섣부르게 매달리면 재앙적인 결과에 도달하게 될 수도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일은 절대 화려한 구호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노벨상을 수상한 천재 물리학자 ... ...
[우주산업 리포트]기로에 선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협력
2022.01.28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은 NASA 우주인 두 명을 태우고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출발
해 ISS에 무사히 도착했다. 스페이스X의 첫 민간 우주선 크루 드래건 캡슐에 탑승했던 우주인 2명(앞줄)이 국제우주정거장(ISS) 도킹에 성공해 ISS 대원들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NASA 제공 미국과 러시아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