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재
존재
현재
현실
기존
생존
실존
뉴스
"
현존
"(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정밀한 인간 유전체 지도. 한국 연구진이 분석
2016.10.06
서울대 연구팀이 기존에 인류가 알지 못했던 유전체(게놈) 정보 중 93%를 새로 밝혀냈다.
현존
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가운데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한국인 체질에 꼭 맞는 맞춤형 의약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6일자에 서정선 서울대 의대 ... ...
한국인 유전체, 서양인과 1만8210개 구조 달랐다
2016.10.06
인간의 유전체 지도를 새롭게 그려낸 것이다. 서 교수의 논문을 게재한 네이처는 “
현존
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중 가장 완벽하다”고 평가했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교수도 “이번 연구 결과는 외국에만 있던 인간 유전체 지도를 국산화한 것으로 분석 방법이 과거와 비교가 안 될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공통조상이 먼저 갈라지고 그 뒤 매머드와 아시아코끼리가 갈라졌다. 얼핏 생각하면
현존
코끼리의 공통조상과 매머드의 조상이 먼저 갈라지고 코끼리가 두 종으로 나뉘었을 것 같은데 뜻밖이다. 사실 유인원의 경우도 겉모습으로 본 추측과는 달리(털의 관계는 반대다) 고릴라 조상과 침팬지/사람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아니라 공룡전문가가 동행하기를 요청했다. 서호주 샤크만에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
현존
하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의 진위여부를 결정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결국 필자는 당시 연세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이융남 박사(현 서울대 ...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
2016.07.15
실험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로봇 실험을 통해 꼬리 회전력이 좋은 벨로키랍토르가
현존
하는 도마뱀보다 더 멀리 뛰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1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공원’ 1편에 등장하는 벨로키랍토르의 놀라운 점프력이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실제와 가까웠다는 ... ...
구글이 제시하는 미래의 웹…AMP와 PWA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5.31
로딩속도 AMP는 이런 문제를 함께 해결해 보자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AMP는
현존
하는 웹 기술 위에서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자바스크립트 사용을 최소화해 페이지 구성을 단순화하고, 비동기 로딩을 적용해 핵심 콘텐츠가 최우선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했다. 또 구글 ... ...
오라클 vs 구글, ‘자바전쟁’을 아십니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5.16
사람들이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이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인터페이스입니다. 때문에
현존
하는 API들이 대동소이합니다. API에 저작권이 있고, 공정이용 대상이 아니라면 기존의 API들 상당수가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생깁니다. 또 요즘 기업이나 공공기관들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데이터나 내부 ... ...
[뉴스 분석] 진공 속 달리는 초음속 열차 ‘하이퍼루프’의 모든 것
2016.05.15
1.1초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출발 후 시속 100㎞에 도달하는데 1.1초가 걸렸다는 의미로,
현존
하는 어떤 지상 운송 수단보다 가속 성능이 빠르다. 하이퍼루프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근교에 있는 사막 지대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테스트는 실제로 진공 터널을 설치하지는 않고 열차의 ... ...
美 AI 왓슨 ‘한국어 버전’ 내년초 출시
동아일보
l
2016.05.10
처음으로 인간을 꺾으며 유명해진 AI다. 인간과 말을 주고받을 수 있는 ‘대화형’ AI로,
현존
하는 AI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AI로 꼽힌다. SK㈜ C&C와 한국IBM은 9일 “양사가 ‘왓슨 기반 AI 사업 협력 계약’을 맺었다”며 “왓슨에 한국어를 학습시켜 내년 초 왓슨의 한국어 버전을 내놓을 것”이라고 ... ...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
2016.05.03
이차원 물질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꿈의 신소재’로 주목 받았던 그래핀은
현존
하는 물질 중 열과 전기가 가장 잘 통하지만, 전류의 흐름을 통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상용화하기 어려웠다. 그래핀과 달리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은 두께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