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뉴스
"
흥미
"(으)로 총 92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하) '프랑켄푸드'의 파급 효과…과학자와 대중의 거리 좁히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12
대상으로 삼았다. ●퓨연구소, 13개 주제 설문조사…GMO 인식 차 가장 커 결과는
흥미
로웠다. 유전자변형작물(GMO)로 만든 음식 섭취가 안전하다는 데 과학자들은 88%가 동의했지만, 대중은 37%만 수긍했다. 대중의 57%는 GMO가 대체로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또 과학자들의 대다수(89%)는 연구를 ... ...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상)175년간 5107권에 가장 많이 등장한 용어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수상을 예측하기라도 한 듯 단백질 분자 구조를 화학결합으로 설명하는 글을 기고했다.
흥미
롭게도 그해 10월 폴링은 화학결합의 성질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복잡한 물질 구조를 설명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용어는 과학기술 발전상의 표상"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따르면 달라진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류는 늘 이주를 꿈꾼다
2020.12.06
‘크루 드래건’에 탑승한 우주인들이 계기판을 조작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흥미
롭게도 포유류는 이주불안이 별로 없다. '인간은 예외적인 포유류다. 인간은 경계를 뛰어넘고 새로운 영역을 탐구한다. 심지어 지금 사는 곳의 자원이 충분해도 말이다.’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의 ... ...
올해를 빛낸 40인의 과학교사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집필해 주목 받았다. 권 교사는 “앞으로도 많은 학생이 꼬마과학자가 되어 과학에
흥미
를 느끼고 생활 속에서 과학을 탐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를 위해 시상식은 개최하지 않는다. 대신 올해의 과학교사상 수상자들의 활동 사례집을 제작, 배포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CpG로 나타냄)에 메틸기(-CH3)가 붙는 과정으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흥미
롭게도 나이가 들수록 게놈에서 전반적으로 DNA 메틸화가 점점 줄어든다. 그 결과 발현되지 않아야 할 유전자나 전이인자(정크 DNA)가 하나둘 고삐가 풀리며 잡음이 생기고 세포 노화로 이어진다. 지난 2013년 미국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중심의 학사 구조를 혁신해야 한다. 고등학교 1학년의 문과 이과 결정은 수학에 대한
흥미
여부에 따라 단순하게 결정된다. 과거의 과학 기술자는 기본적으로 계산이 능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 빠르고 정확한 계산 능력이 우수한 과학 기술자의 충분조건이 아니다. 컴퓨터가 계산을 담당하는 ... ...
[주말N수학]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을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11.07
기존의 접근 방식과 다른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그로부터 해답을 찾아냈다는 점이
흥미
롭습니다. 난제를 푸는 열쇠는 질문 질문① 가우스의 연산 법칙을 확장할 수 있을까? 바르가바 교수는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쓴 책 ‘산술논고’를 읽으며 가우스의 연구를 좀 더 쉽게 ... ...
SF로 AI와 함께하는 미래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국립과천과학관 제공 어른들의 꿈이 더럽혀진 세상. 사람들은 제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꿈을 진공 포장한 팩 음료를 마셔야만 한다. 이들 ... 좋은 수단은 SF 콘텐츠”라며 “코로나19로 지친 많은 국민이 미래 과학기술을 재미있고
흥미
있게 체험하는 상상력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 미래인재 콘퍼런스' 개막…"미래인재 양성 소통의 장"
연합뉴스
l
2020.11.05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상호작용이 가능한 로봇을 통해 교육에 대한
흥미
를 높이고, 인공지능 기반의 교육 콘텐츠 제공은 학생들의 잠재력을 깨워서 더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한국형 인재의 DNA'를 주제로, 세계 속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색 지각을 증명한 미국 프린스턴대 연구자들의 행동실험 결과가 실렸다. 평소
흥미
를 갖던 주제라 읽어봤는데, 필자가 4색형 색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2차원 색도 공간으로는 4색형 색각의 다채로움을 담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논문에 나와 있는 색공간 그래프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