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494건 검색되었습니다.
3일만에 물에 녹는 메모리 소자…전자폐기물 문제 해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연구팀은 개발한 소재로 메모리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메모리 소자는 기존 대비
100
만배 이상 높은 켜짐(ON) 및 꺼짐(OFF) 상태 구분 성능을 보였고 데이터를 1만초 이상 안정적으로 저장했다. 250회 이상 구동하거나 3000회 이상 반복적으로 구부려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다. 개발된 소재는 ... ...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드론을 사용해 조사 속도가 얼마나 빨라졌느냐는 질문에 구 책임연구원은 "
100
m² 넓이 갯벌의 서식굴을 하루 종일 세야 했는데 지금은 같은 면적을 5분 만에 촬영한다"고 답했다. "지금 저희가 있는 제부도 갯벌도 드론으로 2~3일 안에 조사를 마칠 수 있죠." 물론 제대로 된 AI를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간관계를 망치는 '정치적 파벌주의'
2025.06.14
마스크 사용, 백신 접종 등의 행동이 파벌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말았다. 그 결과
100
만명 사망이라는 믿기 어려운 수치를 경험하고 말았다. 파벌주의가 심화될수록 정치와 크게 상관 없었던 상식적인 행동들마저 파벌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민주 사회를 지키기 위한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NFEC)가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 연구책임자 및 과제담당자
100
여 명(42개 기관)을 대상으로 2025년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 연구책임자 설명회를 연세대 세브란스빌딩에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학 신진연구자의 연구인프라 조기 구축을 통해 연구 초기부터 도전적 연구에 ... ...
美 학계 '뮤온 충돌기' 제시…예산 삭감에 실현가능성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같지만 질량은 약 207배 무거워 불안정하다. 수명이 약 2.2마이크로초(1마이크로초는
100
만분의 1초)에 불과하다. 뮤온을 충돌시키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보다 적은 비용으로 지금껏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입자와 현상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HC에서 충돌시키는 ... ...
AI
100
조 투자·기후에너지부?…"이재명 정부에 '과학전문가' 안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AI에 매몰될 위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출연연 원장은 "정부가 AI 투자
100
조원 시대를 통해 AI 3대 강국 도약을 구호로 내걸고 있지만 AI 1, 2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AI 기술 수준이 비슷하기 때문에 3대 강국이라는 키워드가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AI뿐 아니라 ... ...
박남규 교수, 한국인 최초 日 'NIMS 어워드'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이룬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페로스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약
100
℃에서 저비용 제조가 가능하고 기존 실리콘(Si) 기반 태양전지보다 유연한 특성이 있어 차세대 태양광에너지 기술로 꼽힌다. 박 교수는 세계 최초로 고효율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기존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
100
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반응을 이전보다 정확하게 관찰했다. 2개의 정밀 레이저를 이용해 펨토초(fs, 1fs=
100
조분의 1초)부터 수십 분까지 다양한 시간 범위에서 변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정밀 측정했다.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빛과 반응하며 일어나는 반응 2가지. 연구팀은 나노결정 내부의 브롬(Br)이 염소(Cl)로 ... ...
'1초에
100
만번' 효소 반응, 영화 기술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운반하거나 혈액 산성도를 조절하는 데 관여해 생리의학적 연구 가치가 높다. 1초에 최대
100
만번까지 초고속으로 반응이 일어나 각 반응 단계의 중간 상태를 직접 관찰하는 것은 어려웠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분자 영화 기술'로 효소의 탄산탈수효소Ⅱ의 반응을 분석했다. 분자 영화 기술은 ... ...
폐플라스틱에 햇빛 쬐니 수소 쏟아져…고효율 광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1㎡의 대면적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해 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10~
100
㎡ 규모에서도 전략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저비용으로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김 부연구단장은 “폐플라스틱을 에너지 자원으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