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계발
고안
발명
개간
실용화
개황
스페셜
"
개척
"(으)로 총 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구성과를 막대한 비용을 들여 임상시험을 거치고, 그 이후에 전 세계 시장을
개척
하려면 천문학적 비용이 든다. 우리 길리어드는 조류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했지만, 판매는 로슈가 하고 있다. 그 당시 제품화 할 역량이 안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미플루를 통해 매년 적잖은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창업초기 혹은 성장기에 있으며, 고수익 창출이 첨단기술을 통한 새로운 수요
개척
을 요구하는 만큼, 잠재적으로 높은 불확실성(High Risk)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불확실성이란 미래에 발생되는 성과에 대한 확률분포로 이해된다. 중소기업이 신기술개발에 그 바탕을 두고 있는 첨단기술은 기존에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염기서열을 해독했고 1976년 역시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을 해독한 분자생물학의
개척
자다. 1980년, 그는 독감 바이러스로 관심을 돌려 1965년 유행했던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해독했다.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해독해 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영양소가 순환하는 과정을 화살표로 그려놓은 그림이 나온다. 이런 식의 순환 도식을
개척
한 생태학자가 바로 허버트 보만(Herbert Bormann)과 그의 오랜 파트너 진 라이컨스다. 1922년 뉴욕에서 태어난 보만는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제2차 세계대전으로 징집돼 해군에서 용접공으로 복무했고 제대한 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은 런던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뒤 1962년 런던의 왕립연구소에서 단백질 결정학 분야의
개척
자인 데이비드 필립스 박사 실험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당시 필립스 박사팀은 박테리아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인 라이소자임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깨어나지 못했다. 8. 데이비드 세이어 (1924. 3. 2 ~ 2012. 2.23) 컴퓨터 언어도 개발한 결정학
개척
자 1924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 세이어(David Sayre)는 영재여서 19살에 예일대(물리학과)를 졸업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MIT에서 레이더연구에 참여한 뒤, 미래는 생물학의 시대가 되리라고 판단하고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받은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역분화줄기세포’라는 새로운 학문을
개척
했기 때문에 받을 수 있었던 것”이라며 “내가 1991년 노벨상을 수상한 것도 ‘세포의 신호전달 방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도 했다. “반대로 말하면 지금 세포 신호전달물질이나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0.29
얻은 핵을 이식해 올챙이로 키우는 데 성공하면서 핵 이식과 동물복제 분야의
개척
자로 인정받아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체세포의 핵을 이식받은 난자가 올챙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역분화’의 개념을 처음 정립하기도 했다. 그의 연구 덕분에 세계 최초의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가장 중요 △전통과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야
개척
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96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물리화학 박사 1966~1972년 미국 MIT대 생물학과 연구원 1972~1973년 미국 듀크대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 분야에 상대적으로 일찍 뛰어들어 시장을
개척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몇 년 전부터 분 ‘바이오시밀러 열풍’에 최근 셀트리온의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성공까지 더해져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셀트리온이 지난달 6일 ... ...
이전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