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스페셜
"
다음
"(으)로 총 2,18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심우주프로젝트 달탐사선 개발 마무리 돌입…8월 우주로
연합뉴스
l
2022.04.11
국내 산학연의 노력과 국제 협력 등을 통해 약 6년 반 만에 결실을 보게 됐다. KPLO은
다음
달 최종 리허설을 마친 뒤 발사장인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로 이동한다. 우리나라 시각으로 오는 8월 1일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달 탐사 여정을 시작할 예정이다. 달 탐사 ... ...
[2022 필즈상 후보] (5)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수학동아
l
2022.04.09
이런 태도가 훌륭한 연구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로구노프 교수는
다음
필즈상 수상도 기대할 수 있는 젊은 나이지만 도전 정신을 높이 평가받아 이번에 필즈상을 탈 수 있을지 수학계의 눈길이 쏠리고 있습니다. ... ...
나노미터 크기 백신 실험실·감염병 조기 알아내는 AI 경보기…
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발생을 조기에 파악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를 뛰어넘는
다음
질병이 또 다시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기생충 등 인간이 감염될 수 있는 병원체 약 1400종 중 하나가 언제든 더 심각한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열대 지방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 ...
화이자·모더나로 끝나지 않는다…멈추지 않는 새 mRNA백신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mRNA 백신을 매우 빠르게 제조하는 기술을 확보해
다음
감염병을 해결하고 글로벌 제약사들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카모스타트, 치료 효과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렘데시비르의 효능을 살폈다. 환자 420명에게는 렘데시비르를 첫날 200mg 주입한 후
다음
9일 동안 하루 100mg을 투약했다. 나머지 423명에게는 위약을 줬다. 이후 15일 차에 렘데시비르 투약군과 위약 투약군 사이 증상 완화 정도를 살폈다. 그 결과 렘데시비르를 투약해도 별다른 효능이 나타나지 않은 ... ...
방역당국 "'스텔스 오미크론' 확산 불구 국내 재유행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코로나19 전담병원인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119 구급대원과 의료진이 병원에 도착한 환자를 감염병 전문 병동으로 이송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다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부담은 아마
다음
주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며 “
다음
주까지 정점 구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1조3천억원 들인 英 화성 탐사로버…전쟁 탓 화성 못 갈 판
연합뉴스
l
2022.04.05
ESA와 러시아의 협력 중단으로 화성과 지구의 공전 궤도 위 위치 등을 고려해 결정될
다음
발사는 일러야 2년 후인 2024년 여름에나 가능하게 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발사가 계속 지연될 경우 로절린드 프랭클린 계획 자체가 보류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탐사 로버의 전망이 암울해 보인다고 우려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크게 늘어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 ‘네이처 식물’ 제공 녹병균
다음
으로 밀을 괴롭히는 질병은 흰가루병(백분병)으로 블루메리아라는 곰팡이가 병원체다. 블루메리아는 광범위한 식물을 숙주로 삼는 곰팡이로, 지금까지 650여 종이 발견됐고 식물 약 1만 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공감대, 탄소중립으로 잘 연결해야
2022.04.04
지구에 바다가 생성되면서 바다에서 유래한 미세먼지가 새롭게 발생했을 것이다. 그
다음
다시 지구에 인간이 출현했고 약 170만년전 호모에렉투스가 처음 나무 태운 불로 조리한 음식을 먹기시작하면서 인간이 만든 첫 미세먼지가 배출됐다. 실제로 미세먼지가 지구상에서 공룡의 멸종을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423-022-00838-5 이처럼 오미크론 변이 혹은 그
다음
을 대비하기 위해 현재의 백신을 대체·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럼에도 분명한 사실은 “현재의 백신은 충분히 맞을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적당한 수준의 중화항체는 코로나19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