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산학"(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원자력발전 안정성에 응용한 연구로 원자력 발전에 큰 도움을 줬다. 한만춘 박사는 산학협력의 기틀을 닦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국무총리실 평가교수, 국제기능올림픽 한국위원회 기술위원장, 한국기술검정공단 이사, 전국경제인연합회기술조사센터 자문위원, 동력자원부 정책자문위원,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자리하고 있다. 서강대는 포스코와 2010년 8월 인공광합성 실용화 공동연구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포스코의 지원하에 한국인공광합성연구센터 전용 연구동을 2013년 1월 준공했다. ‘포스코-프란치스코관’이라 명명된 이 건물은 연면적 6700m2, 지상 8층, 지하 2층 규모로 30여 개의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학술용어의 차이는 웃고 넘겨서는 안 될 일이다. 현재 남북한에서는 수과학, 공학, 농수산학, 의약학 등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30만 개가 넘는 고유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전문 과학용어는 법령이나 국가표준(KS), 각종 기술 표준에 적용돼 학술, 통신, 보건, 안전, 환경 등 넓은 ...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15
- 자리를 잡았다. 원전 기술개발과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주요의제로 다루며 글로벌 산학연 기술교류의 장이기도 한다. 원자력학회는 이번 노력을 통해 UN이 원자력발전을 온실가스의 감축수단으로 공식 인정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교토의정서 채택 당시 부속서로 채택된 청정개발체재(CDM)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2015.01.20
- 인공와우 장치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해 왔으나, 서울대와 뉴로바이오시스의 산학협력을 통해 값싸고 성능이 뛰어난 국내 최초의 다채널 인공와우를 개발한 바 있다. 국산 제품으로 인공와우 이식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인공와우용 미세 전극 개발 기술, 밀봉 패키지 기술, 집적회로 및 ... ...
- 새로운 기업생태계를 만드는 연구소 기업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03.18
- 방식이다. 설립주체는 국립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학교 등 공공연구기관 그리고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와 신기술창업전문회사로 한정한다. 또한 기관이나 회사가 자본금의 20퍼센트 이상의 비율을 출자해야 하고 반드시 본점을 특구 안에 설립해야 한다. 연구소기업 제도는 공공연구기관의 ...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경기과학기술진흥원, 과학기술분야 산학연모델 창출에 시동KOITA l2014.02.07
- 기대된다”고 밝혔다. □ 양 기관은 창조경제시대에 산업계의 기술혁신을 견인하기 위해 산학연간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인력지원 등의 산업계 지원사업을 강화함으로써 상생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이번 협약에 따라 추후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KOITA l2013.12.16
- 연구를 진행하게 했다. [단계 2] 연구 프로그램의 진행 과제 담당자인 PM(Ken Perko)은 산학계의 광범위한 아이디어 탐색을 통해 ① 항공기가 탐지되지 않는 레이더 단면적(Radar Cross Section, RCS) 값의 산출 가능성, ② 충분히 작은 RCS 값을 가진 유인 항공기의 생산 가능성이란 두 가지 세부 과제를 도출했다. ... ...
- 「원자력 교육백서」 첫 발간동아사이언스 l2013.10.01
- 원자력교육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백서 발간은 산학연 등 21개 기관이 참여하여 발족(‘11.6월)한 ‘원자력교육협력협의회’에서 처음 제안하였으며, 2012년 12월부터‘한국원자력산업회의’를 주관으로 각 기관에서 자료 협조를 받아 공동으로 집필 작업을 진행하였다. ... ...
- 창조적 지역발전체제 구축을 위해 지역기술혁신역량 총결집동아사이언스 l2013.09.03
- 지역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창조적 지역발전체제 구축을 위하여 산학연관 및 지역혁신주체 간 연계 강화 및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자체 주도 정책기획 기능을 강화하여 지역특화분야 육성전략을 수립하고, 연구개발특구, TP(테크노파크), SP(사이언스파크) 등 지역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