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스페셜
"
유명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2030년 사람 뇌와 AI 잇는 인터페이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특이점 이론'으로
유명
한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이 18일 매일경제신문이 개최한 '제21회 세계지식포럼'에 대담자로 나섰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담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세계지식포럼 동영상 캡처 “2030년에는 인간의 뇌를 인공지능(AI)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나올 것입니다. 인간의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에 걸린 대학 선수들, 폐가 아니라 심장에 후유증
2020.09.17
‘빅 텐 컨퍼런스’(오하이오주립대 등 스포츠로
유명
한 미국 10여개 대학들의 연합) 등 몇몇 대형 스포츠 경기들은 최근 취소됐다. 빅 텐 컨퍼런스가 지난달 미식축구 경기를 연기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코로나1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28) 또한 세균학자인 점이 흥미롭다. 베링은 스승보다 먼저 노벨상을 수상한 것으로도
유명
해졌다. 코흐는 1890년 투베르쿨린이라는 결핵 백신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는데, 투베르쿨린이 결핵을 예방하기는커녕 오히려 환자를 죽게 만드는 결과를 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코흐의 명성에 금이 가기 ... ...
[화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선정 올해의 천문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크레이터는 지름 85km의 충돌분지로 약 1억년 전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달에서 가장
유명
한 분화구 중 하나다. 파란색은 산화티나늄, 빨간색은 산화철 농도를 나타낸다. 달 부문에서 수상했다. 루카즈 수즈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제공 폴란드 사진작가 루카즈 수즈카가 촬영한 달과 목성의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우주의 탄생과 기원을 설명한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최초의 3분’ 저자로도
유명
한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이론물리학자인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는 기초물리학 분야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돼 상금 300만 달러(약 35억6000만 원)의 주인공이 됐다. 그는 자연계의 기본 힘 중 약한핵력과 전자기력을 ... ...
진료 중 숨진 임세원 교수 의사자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중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유명
을 달리한 고(故)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발인식이 엄수된 지난해 1월 오전 임 교수의 영정이 서울 종로구 서울적십자병원 장례식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진료 중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진 고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 ...
“코로나와 공존하는 박쥐에게서 극복 전략을 배우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발표했다. 벌거숭이 두더지쥐는 설치류지만 보통의 쥐보다 몇 배 이상 사는 것으로
유명
하다. 그러면서도 암이나 관절염, 퇴행성 질환에도 잘 걸리지 않는다. 고부노바 교수는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경우 노화와 관련된 모든 요소에서 저항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벌거숭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870년 프러시아와의 보불전쟁 때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겐 조국이 있다.”는
유명
한 말을 남겼다. 이듬해에는 독일 본 대학에서 받은 명예박사학위도 반납했다. 이 전쟁에 자원입대한 아들은 전사했다. 루이 파스퇴르((1822~1895))와 그의 서명. 위키미디어 제공 ※참고자료 -쑨이린,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전체 연주에 큰 영향이 생기지는 않는 것과 같다. 만약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의
유명
한 주제부인 ‘운명이 문 두드리는 소리(빰빰빰빰~)’처럼 중요한 위치에서 음표가 바뀌어 있다면 사정이 다르다. 바이러스도 중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영역에 변이가 생기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바이러스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엽록체가 원래는 독립적인 박테리아였다가 진핵세포와 공생하게 되었다는
유명
한 진화론의 가설을 말한다. 마가렛 데이호프가 활동하던 시절이 남성 과학자들이 과학을 독점하던 야만적인 시기였음을 생각해본다면, 그가 이런 업적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노력은 엄청난 것이다. 여전히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