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스페셜
"
조각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약간 낮기 때문에 빨대로 젓지 않는 한 덜 섞인 상태가 꽤 오래 가는데 중간에 있는 얼음
조각
들의 교란 때문에 아지랑이 같은 효과도 난다. 그런데 뜨거운 라테의 경우도 잔에 우유를 먼저 넣은 뒤 에스프레소를 넣은 게 있다. 바로 라테 마키아또다. 마키아또(macchiato)는 ‘얼룩’이라는 뜻의 ... ...
플라나리아 무한 재생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꼬리와 가까운 쪽은 꼬리로 재생된다. 그런데 nkx1-1 유전자에 문제가 생긴
조각
은 꼬리는 만들어지지 않고 머리가 두 개인 플라나리아로 재생됐다. nkx1-1이 단순히 원형 근섬유를 재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요 신체 부위를 만드는 것에 관여하는 것이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근육을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그러나 일부 빙하는 질량이 계속해서 축적된 뒤 한 번에 순간적으로 빙하가 부서져 얼음
조각
이 빠르게 쏟아져 내리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사태를 일으키는 원인은 빙하 속으로 파고드는 물이다. 비가 내리거나 빙하가 녹아 표면에 고인 물은 빙하가 갈라져 생긴 좁고 긴 틈(크레바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84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신경해부학자 매리언 다이아몬드의 수중에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
네 점이 들어왔다. 다이아몬드 교수팀은 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를 이듬해 학술지 ‘실험신경학’에 발표했는데 논문의 제목은 ‘한 과학자의 뇌에 대하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었다. 다이아몬드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소년의 피부를 검사, 정상적 피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타구니에서 4㎠ 크기의 피부
조각
을 채취했다. 여기엔 피부 재생을 돕는 줄기세포 역시 포함돼 있다. 채취한 피부엔 레트로바이러스를 통해 건강한 LAMB3 유전자를 삽입했다. LAMB3는 소년의 질환을 유발한 원인 유전자다. 연구진은 유전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받았다. 퍼듀대에 다시 자리를 잡은 벤저는 파지 유전학 연구를 이어나가다(유전자가 DNA
조각
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싫증을 느끼던 차에 1967년 칼텍으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이 해에 들어온 대학원생 가운데 한 명이 바로 코놉카다. 그리고 코놉카의 연구를 계기로 벤저는 행동유전학 분야에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2017.10.06
한다 (Kleim et al., 2016).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아무런 낙이 없을 때 정말 맛있는 초콜렛 한
조각
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고 머리 아픈 일로 며칠씩 씨름하고 있을 때 그냥 하루 푹 자버리면 그 문제가 생각보다 별 일 아닌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기본이 무너져버리면 그 때는 정말 출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커진 결과일 수 있다. SFTS바이러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캡슐 안에 게놈 세
조각
이 보인다. 큰
조각
(L)에는 복제에 필요한 RNA중합효소 유전자가 있고 중간 크기
조각
(M)에는 캡슐 표면의 당단백질 두 종(Gc와 Gn)의 유전자가 있다. 작은
조각
(S, 그림 오른쪽에 보이는 작은 고리로 M은 오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쓰레기가 널려있다. 아래 왼쪽은 그물이 엉킨 바다거북의 모습이고 오른쪽은 플라스틱
조각
을 집으로 쓰려고 하는 소라게의 모습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플라스틱 제조 누적량은 83억 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19일자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의 양과 현재 상태를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주는 영상이라고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것들이 있는데 예컨대 테트리스 블럭처럼 네모
조각
이 빙글빙글 떨어지다가 마지막에 홈에 맞지 않고 어긋나는 식이다. 보고나서 실제로 엄청 불편함을 느꼈다. 거기 딱 맞게 들어가야 하는데.. 세상이 내가 생각하는 이치에 맞게 흘러가야 한다는(make sense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