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스페셜
"
천문학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가속기(둘레 100km에 이르는) 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천문학
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사 여부도 불확실하고 설사 지어지더라도 여기서 초대칭입자가 검출되지 못하면 사실상 실험으로 입증할 방법이 없다. 그렇더라도 끈이론 학자들은 초대칭입자의 질량이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기고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
천문학
&천체물리학’에 실린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
연구소 시웨이 우 박사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별 질량 상한선 연구현황을 소개했다. 우 박사팀은 우리은하에서 별의 탄생이 가장 활발한 W49 영역을 근적외선망원경으로 들여다봤고 그 결과 태양 질량의 90~25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정착 생활을 했다. 그 해답을 천체들의 움직임에서 얻었던 것이다. 생활과 밀접한
천문학
이 발전하면서 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오랜 연구 끝에 1961년 4월 12일,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을 태운 보스토크 1호는 지구의 대기를 벗어났다. 우주 탐사에 대한 인류의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물리
천문학
과 케보르크 아바자니안 교수는 유럽우주국(ESA)의 XMM-뉴턴우주망원경에서 관측한 X선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존재하는 3.5킬로전자볼트(KeV)의 X선이 7KeV 질량의 불임 뉴트리노가 붕괴할 때 나온 신호임을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좋은 과학 장비를 싣고 영국을 출발했다. 승선 인원은 총 200여 명으로 선원뿐만 아니라
천문학
자 등 과학자들도 포함됐다. ■ 대항해 시대와 괴혈병 2차 항해는 쿡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것은 당대의 항해에서 고질병이었던 괴혈병을 치료하는 선구자가 됐기 때문이다. 1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있다. 그런데 데카르트는 이를 우주로 확장시켰다. 애초에 그는 당대의 '핫'한 학문이던
천문학
에서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자신의 기계론에 소용돌이를 도입했다. 안타깝게도 데카르트의 소용돌이 이론은 이후의 실험과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의 발표로 산산조각 났다. 뉴턴은 데카르트를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는 토성과 천왕성 사이에 있는 켄타우루스 소행성 가운데 가장 크다.
천문학
자들은 2013년 6월 3일 커리클로가 남미의 하늘을 지나갈 때 항성 엄폐가 일어나리라는 걸 예측했다. 소행성처럼 작은 천체가 토성이나 천왕성의 거리에 있을 경우 망원경을 직접 관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들 ... ...
별밤 오디세이 [제2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두 MC는 이렇게 풀이한다. 오리온은 추억이다! 그리고 점(占)이다! 오리온에 얽힌
천문학
에서, 영화와 팝송, 그리고 미스터리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남자의 별별 이야기, 제2편에서 확인해보자. ※ 시청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
골디락스 영역 속 제2의 지구를 찾아라
KISTI
l
2014.01.06
경제 상태를 골디락스 경제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골디락스’라는 단어는
천문학
에도 사용되고 있다.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물이 있어야 하고, 기온이 높지도 낮지도 않아야 하며, 태양과 같은 항성의 빛을 꾸준하게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과학자들은 이 같은 조건을 갖춘 지역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멕시코
천문학
자 길레르모 아로도 비슷한 발견을 했다는 걸 알게 됐다. 훗날 구소련의
천문학
자 빅토르 암마르추미안은 이런 특성을 지닌 천체를 ‘허빅-아로 천체(Herbig-Haro objects, 줄여서 HH천체)라고 명명했다. 허빅과 동료들은 HH천체가 어린 별에서 초음속으로 방출되는 물질이 성간물질과 충돌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