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스페셜
"
탐사
"(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랍 강소국 UAE "2033년까지 7개 소행성
탐사
계획...최종 착륙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주요 소행성대에 접근할 예정이다. 발사 후 총 5년간 36억 km를 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탐사
선 개발은 미국 콜로라도대 대기우주물리학연구소와 협력한다. 우주선 설계나 엔지니어링, 행성 간 항법, 우주선 열 보호 등의 부문에서 UAE가 개발한 화성 궤도선 '아말'보다 개발 난이도 5배 정도는 더 ... ...
[우주산업 리포트] 영국의 우주산업 새로운 카운트다운 시작됐다
2021.10.01
최초의 로켓 발사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아르테미스’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전략보고서 서문에서 “영국의 우주산업이 발사되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고 했다. 그는 영국이 낳은 스티브 호킹과 죠셀린 벨 버넬, 세실리아 ... ...
미 NASA 로버 ‘바이퍼’, 달 착륙 우주인 쓸 물 찾아 컴컴한 '달 남극'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계획에 따르면 바이퍼는 노빌레 충돌구 내 약 93㎢ 면적을
탐사
하게 된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32배에 해당한다. 다만 노빌레 충돌구에 물이 존재하는지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앤서니 컬라프릿 NASA 바이퍼 임무 수석과학자는 “우리가 바라보는 곳 어디에도 물이 ... ...
[프리미엄 리포트]고체발사체는 민간 우주개발 도약 시발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지난 6월 공개한 킥모터 개발 사업 개요에 따르면 고체 킥모터를 이용해 고중량 달
탐사
선을 투입한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한국은 이미 2013년 1월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를 개발할 때 상단 고체엔진 로켓으로 킥모터를 개발한 경험이 있다. 당시는 한미 미사일 지침에 따라 고체엔진 총추력 제한인 ... ...
우주개발 정책, 기술 확보 중심에서 안보와 외교, 경제 전략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달
탐사
전초기지인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한국은 10번째 달
탐사
참여국으로 지난 5월 27일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s)에 서명했다. NASA 제공 지금까지 쌓아온 기술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로 도약할 정책을 마련해야 우주 선진국들의 경쟁에 합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
[우주산업 리포트] 미국 텍사스가 세계 우주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
2021.09.24
만들어졌다. 1973년 ‘존슨 스페이스 센터’로 개명된 이 시설은 나사의 유인 우주
탐사
를 사실상 총괄하고 있다. 예비우주인의 훈련과 미국의 유인 우주선,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운영도 이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표면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의 관제도 ... ...
NASA 첫 달 로버 탐색지는 달 남극 '노빌레 분화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계획에 따르면 바이퍼는 노빌레 충돌구 내 약 93㎢ 면적을
탐사
하게 된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32배에 해당한다. 다만 노빌레 충돌구에 물이 존재하는지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앤서니 컬라프릿 NASA 바이퍼 임무 수석과학자는 “우리가 바라보는 곳 어디에도 물이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달의 남북극 지방 충돌구 속 태양빛이 닿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다. 유인 달
탐사
미션인 ‘아르테미스’를 위한 착륙 후보지를 찾는 임무를 맡는다. 이처럼 달은 영구음영지역이 생기는 것은 물론 지구에서는 한쪽면만 보인다. 자전축을 중심으로 24시간마다 자전하면서 낮과 밤이 ... ...
남극 미생물로 세제 만든다…국내 첫 극지 벤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제품화한다는 계획이다. 임정한 극지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앞서 ‘양극해 미래자원
탐사
및 활용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남극 해양 미생물(Pseudoalteromonas arctica PAMC 21717)에서 찾은 저온 활성 단백질 분해 효소를 실험실에서 생산하는 데 성공하고 미국과 유럽 등에 특허등록을 마쳤다. ... ...
[우주산업 리포트]UAE, 100년 후 화성 이주를 천명한 첫 국가가 되다
2021.09.10
살렘 알 마리는 같은 맥락에서 내년에 발사될 예정인 달
탐사
로버 ‘라시드’도 달
탐사
라는 본연의 역할 외에 비 우주 산업 육성을 위한 부가적인 활동도 수행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로버를 통해 자신들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달에서 실험해보기를 원하는 기업과 대학들이 많다”며 “이들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