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2,87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이변,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9002
높다. 이 해 1월에 일최저기온이 O℃ 이상 되는 날이 12일이나 되었고 -10℃ 이하인 날은
단
하루 뿐이었다. 이 사실은 1989년 1월이 다른 해의 1월에 비해 얼마나 따뜻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더구나 1월에 6.7℃라는 높은 일최저기온을 보인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해의 1월에 한국을 비롯한 ... ...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
과학동아
l
199002
예년과 큰 변화없는 출제경향이었고 출제상의 오류도 별로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
단
편적인 지식의 암기상태를 확인하는 문제가 많았고 고교교육 현실을 보다 교육적으로 만들어 보자는 면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 ...
플라스틱이 전기를 통한다
과학동아
l
199002
가진 로봇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뛰어난 기억소자가 있어야 한다. 결국 분자
단
위를 취급하는 분자전자학에 의존해야 하는데 전기전도성 플라스틱은 분자전자학의 기본소재인 것이다.요컨대 고분자의 일종인 플라스틱에 전기가 흐르게 된 '사연'은 그들이 특수한 분자구조를 가졌기 ... ...
공부하는 방법이 문제예요
과학동아
l
199002
이후에는 절대 불을 켜 놓지 못하게 했어요. TV과외는 처음에 듣다가 곧 실망해 시청을 중
단
했어요. 암기위주여서 생리에 맞지 않았던 거지요.윤 - 저도 TV과외는 보지 않았어요. 하지만 방송교재는 따로 풀어봤죠. 문제집 하나를 더 다룬다는 기분으로요.끝으로 우리의 포부를 한번 밝혀 보는 게 ... ...
새로운 자동계산기를 써보자
과학동아
l
199002
로터스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에 대해 기술하고, 실제로 어떤 방법으로 구현되는지 간
단
하게 살펴 보았다. 다음호에서는 로터스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다루게 될 것이다. 그때까지 여기에서 소개한 내용을 연습해 보고, 참고서적을 읽고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기를 권한다. 스스로 배우기를 ... ...
청소년 과학화에 앞장서는 과학기술진흥재
단
과학동아
l
199001
한강고수부지에 과학공원을 만든다는 기발한 발상은 실현될 것인지."첨
단
분야의 연구소를 하나 짓는 것보다 청소년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소질을 개발하 ... 발벗고 나선 진흥재
단
이 얼마나 그동안의 '덜 대중적'이던 이미지를 불식하고 활발한 과학
단
체로 변신할지 자못 기대가 크다 ... ...
PC에서 쓸 수 있는 컴퓨터언어
과학동아
l
199001
PC사용자는 곧 프로그램 언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PC에서는 아주 하찮은 일이라도 간
단
한 베이직 명령어 몇개를 모르면 처리할 수 없기 때문다.대표적인 PC용 언어/베이직 파스칼 C몇년전까지만 해도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PC의 하드웨어적 ... ...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001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특히 개인용 워크스테이션의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지금까지
단
순히 키보드와 화면에 일정한 크기로 나타나는 글자로 컴퓨터와 인간과의 대화를 이루어 왔던 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매체, 즉 그래픽 음성 영상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미 마우스 등 위치를 지적하는 장치들은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01
빛을 마음대로 이용하려면 빛을 다스릴 수 있어야 한다.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 유도할 수 있는 재료가 바로 광섬유다.두말할 나위없이 빛의 이용은 인간생활에 ... 빛의 세기만 이용하는 현재의 광통신을 탈피, 빛의 파(wave)의 특성을 이용한 최첨
단
의 우수한 통신방법에 적용할 수도 있다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01
1년) 임용운(경남 창원 경원중 2년) 고윤호(서울 당산서중 1년)군이 참가한다.3차 동계연구
단
(90.1.15~91.1.31)은 연구원 4명, 지원인력 10명 등 14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연구팀은 1, 2차 동계연구를 통해 축적된 관측자료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남극연구의 세부항목도 다양화할 계획이다.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