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놀이 대상이 아니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알려지며 인기를 끌고 있지요. 하지만 이 프로그램엔 ‘동물학대’라는 윤리적인 문제가 있어요. 수많은 행사 참가자들이 수온이 20°C 이하로 떨어져야 살 수 있는 산천어를 36.5°C 체온으로 꽉 잡으며, 옷 속에 보관하고, 꽉 움켜쥐다가 아가미에 손을 넣기도 해요. 또 일부 참가자들은 잡은 ... ...
- Part 4. 잡지 말고 관찰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들고 마르치키타호를 보호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죠. 이에 2018 버드페어에서도 이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고 행사의 주제로 삼았답니다. 이런 식으로 버드페어는 최근 10여 년 동안 매해 2억 8000만 원 이상을 모금했어요. 모금액은 모두 환경 보전을 위해 사용하고 있지요. 한편 우리나라에도 ... ...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지난해 11월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허젠쿠이 교수는 ‘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회의’에서 크리스퍼 실험을 통해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 쌍둥이가 태어났다고 발표했 ... 막을 수 있을지 불투명할 뿐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바이러스의 수용체가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어요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언제, 어떤 규모로 일어났는지 정확히 알아야만 했다. ‘사이언스’에 실린 두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다. 코트니 스프레인 영국 리버풀대 지구해양및생태학부 연구원팀은 초정밀 아르곤 동위원소비 자료로 데칸 트랩 현무암의 생성 시기를 계산하고 데칸 트랩 내에 백악기-고제3기의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주기율표를 가르치는 건 화학교사의 입장에서는 매우 골치 아픈 일이다. 가장 큰 문제는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원소 이름부터 원소 기호, 원자 번호, 원자량까지 외워야 할 정보만 산더미다. 주기라는 규칙에 익숙하지도 않다. 낯선 데다가 외우기까지 해야 하니 학생들이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않다고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발목을 삐끗하는 등 조금이라도 다리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두 다리로 걷는 일이 얼마나 어렵고 동시에 대단한 일인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그렇다면 왜 이 어렵고도 대단한, 두 다리로 걷는 일을 로봇에게 시키는 걸까요? 강아지나 고양이처럼 네 다리로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 그런데 프록시마 b가 정말 인류가 살 수 있는 곳으로 확인된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인간이 프록시마 b까지 어떻게 이동하느냐 하는 것이다. 지구로부터 프록시마 b까지 거리는 4.24광년. km로 환산하면 약 40조1104억km에 이른다. 현재 추진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짧게는 1만9000년, ... ...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 문제를 소개한 걸 보고 n=33인 경우의 해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이 문제를 풀 때 ‘엘키스 알고리듬’을 이용하는데, 부커 연구원은 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직접 만든 뒤 컴퓨터로 약 3주 동안 계산해 해를 찾았습니다.이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아직 해를 못 찾은 ... ...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려움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수학자는 다양한 어려움과 마주합니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 때 필요한 아이디어가 도저히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죠. 또 수학은 증명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긴밀하게 연결돼 있어서 아주 작은 부분 때문에 증명 전체가 무너지기도 합니다”. 이런 장애물을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술진들의 의견을 존중해 내린 판단이었다. 실제 발사는 연료를 엔진에 넣는 가압장치 문제로 한 달이 더 지난 11월에 이뤄졌다. 일정을 미루는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지만 좋은 판단은 성공으로 이어졌다. “이공계 위기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발사체 개발은 항공우주 분야 연구 중에서도 3D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