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밤하늘에서 금성이나 목성을 맨눈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면 이보다 어두운 천왕성에 도전해볼 만하다. 천왕성은 도심에서 먼 어두운 곳에서 ... 그는 10여번이나 더 천왕성을 관측했다. 레모니에가 자신의 기록들을 서로 비교해
보기
만 했어도 역사에 길이 남을 천왕성 발견자가 됐을 것이다 ... ...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천왕성과 해왕성은 마치 쌍둥이처럼 보인다. 하지만 보이저 2호의 탐사로 밝혀진 해왕성의 생생한 모습은 오히려 목성을 닮아 있었다. 거대한 폭풍과 강한 바람, 그리 ... 목소리를 여러분도 제트추진연구소의 홈페이지(http://voyager.jpl.nasa.gov/spacecraft/ languages/korean.html)에서 들어
보기
바란다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생장조절물질을 이용한다. 이들 물질은 현재 원래 키가 큰 붓꽃이나 제비동자꽃, 나리를
보기
좋게 작게 만드는데도 활용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거나 건축을 하기 위해서 터를 다듬을 때에 으레 산을 깎아 내린다. 이 때문에 절개지가 생기고 이를 빠른 시일 내에 푸르게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나오는 과학자의 이름을 하나도 모르는 관객에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가
보기
에 진정한 과학연극이란 관객이 연극을 보면서 과학에 대해 모르던 것을 배우고, 과학자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이 무엇인지를 즐겁게 이해하는 것이다. 즉 교육과 오락의 기능이 결합된 형태다 ... ...
가을 저녁 펼쳐지는 달과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 시각은 해가 진지 약 40분 뒤다. 물론 하늘이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아 맨눈으로는 별을
보기
어렵다. 하지만 쌍안경이나 천체망원경으로는 쉽게 확인할 수 있다.별이 달에 가려져 있는 시간은 약 1시간 30분으로 이 사이에 별은 달의 중앙부근을 통과한다.전문적인 관측가에게는 별이 달에서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가릴 것 없이 누구나 즐기고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시원한 바람을 가르는 모습은
보기
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하물며 직접 탈 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란 말할 필요도 없다.인라인 스케이트 전문가들에 따르면 운동신경이 아무리 둔한 사람이라도 한달 정도만 연습하면 기본은 마치고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천체역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천구상에서 태양 · 달 · 행성 · 항성 등 천체의 겉
보기
위치나 운동 · 크기 · 표면에 나타나는 모양을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다음 한없이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고개에서 마을로 내려왔다. 마을 길가의 절벽면에 드러난 지층이 휘어진 모양인 습곡을
보기
위해서다. 그런데 여기에서 뜻밖의 큰 성과를 얻었다. 습곡이 있는 길 건너편은 바닷가와 접해있는데, 이곳에는 도로확장을 위해 어디선가 갖다놓은 돌들이 있었다. 10여분만에 이 돌들에서 몇개의 화석이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적외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적외선을 내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전기신호가 다시 영상신호로 바뀌어야 한다. 이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 바로 신호취득 회로다. 기판에 위치한 신호취득회로에서는 신호를 증폭 하거나 신호를 영상신호로 묶는 등 다양한 신호처리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장소를 잡았으면 자리를 펴고 누워서 하늘을 쳐다본다. 장시간 관측해야 하므로 서서
보기
란 어렵다. 가급적이면 의자에 앉거나 누워서 편한 자세를 잡는다.관측 초기에는 유성이 매우 드물게 떨어져서 급한 마음에 조금 지겹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겠지만, 끈기 있게 하늘을 쳐다보다 보면 금방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